구상(구체적인 모양, e.g. 구상화) <-> 추상(일반적인/상상의 모양, e.g. 추상화) 니까 구상클래스라고 하는거겠죠...
사실은 아마 단어 자체로는 100% 추상이 concrete에 맞는것 같습니다.
상은 모양/이미지를 나타내는 단어이고,
추(抽)는 무언가를 뽑아낸다라는 뜻에서 일반적 특징을 뽑아내다.. 이런쪽 의미.
구상의 구(具)는 네이버 한자사전에 따르면 ...
1. 갖추다, 갖추어지다
2. 구비하다(具備--)
3. 온전하다(穩全--), 족하다
4. 모두
5. 일일이
6. 자세히(仔細ㆍ子細-), 상세히
7. 함께, 다 같이
8. 차림
9. 그릇, 연장
10. 설비, 준비(準備)
11. 힘, 기량(技倆ㆍ伎倆)
딱 concrete랑 맞는 의미라 할 수 있죠.
구상도 나쁜 번역은 아닌것 같네요. 일본애들은 구상이라는 단어를 쓰는것 같고(具象クラス),
대만/중국애들은 具體類/具体类라고 concrete class를 번역하는 모양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보통 구체적 클래스라고 쓰거나 구체 클래스라고 씁니다.
2013/7/14 Sewon Ann <
kin...@gmail.com>:
> 별로 맘엔 안들지만 구체클래스라는 표현을 많이 쓰는 것 같아요.
>
> 구현클래스라는 표현은 애매하다고 생각합니다. 자바로 보자면 abstract class 나 interface의 반댓말로 주로 사용하는
> 표현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렇게 보면 딱히 뭔가를 구현(interface implementation?)한다는 의미는 전혀 없으니까요. 이는
> 아싸님이 링크 걸어주신 글에서도 잘 나타나있구요.
>
> 추상 클래스의 적절한 반대 표현을 찾는 게 맞지 않을까 싶어요. 그래서 그나마 찾아낸 표현이 구체클래스라고 생각하구요.마땅히 대체할 좋은
> 표현이 없다면 구체클래스가 낫지 않을까 싶어요. 구현클래스는 의미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구상 클래스의 구상은 도대체 무슨 뜻인지도
> 모르겠어서 아니지 싶네요.
>
>
> 2013/7/14 Zéide Peace <
zeid...@gmail.com>
>>
>> 저도 구현클래스라고 생각해왔는데, 적절한 단어를 찾기가 어렵군요.
>>
>>
>> 2013/7/14 Outsider (JeongHoon Byun) <
outsi...@gmail.com>
>>
>>> 저는 일반적으론 그냥 구현 클래스라고 쓰긴 합니다만
>>> implementaion과 혼동의 여지가 있어서 적절한지 잘 모르겠습니다.
>>>
http://javacan.tistory.com/253
>>>
>>>
>>> --
>>> /************************************************
>>> Outsider (JeongHoon Byun)
>>> Programmer & Hacker
>>>
>>> Blog :
http://blog.outsider.ne.kr
>>> Twitter : @Outsideris
>>> G-Talk :
outsi...@gmail.com
>
https://groups.google.com/d/msgid/scala-korea/CADXi%3Da-uZb98vO9xk%2BgPS6%2BD3GYh8f%3D3-mvamy9ifBvpue0TBg%40mail.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