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Raelian Movement for those who are not afraid of the future : http://www.rael.org
--------------------------------------------------------------------------------------------------------------
Get Rael-Science on Facebook: http://www.facebook.com/raelscience
--------------------------------------------------------------------------------------------------------------
스트레스를 경험한 후에 스스로 터치하며 위로하면,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가 낮아진다
프랑크푸르트 대학의 알조스차 드레이소너 박사과정 학생은 사람들이 자신의 가슴에 손을 얹는것과 같이 스스로를 위로하는 터치를 하면 다른 사람과 포옹을 하는 것과 같이 스트레스 감소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COVID-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다른 사람으로부터 육체적 터치를 받는 것이 어려운 시기에 자신을 터치하는 것은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며 다른 사람에게서 받는 터치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연구팀은 평균연령 21세 성인 159명의 실험 참가자들에게 5 분 동안 연설을 준비하도록 요청하였고, 그들이 판사들 앞에서 연설하는 스트레스 상황에 놓이게 했다.
이후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연설을 하기 전에 20초동안 동료와 포옹을 하거나 또는 스스로 달래는 터치를 하게 하였고, 나머지 참가자들은 종이 비행기를 접게 하였다. 자신을 터치한 참가자들은 거의 모두가 자신의 가슴이나 복부에 손을 대는 선택을 했다.
연구결과, 스트레스 상황에선 실험 참가자들 모두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수치가 증가했지만, 포옹과 스스로 자신을 터치 했을 때는 코르티솔 수치가 둘다 감소했다.
“다른 사람을 포옹하고 터치하는 것은 스트레스 상황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된다. 스스로를 위로하고 달래는 터치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오른 손을 가슴에 얹거나 왼손을 복부 위에 두어서 터치의 온기와 압력에 집중할 수 있다. 사실, 사람들은 항상 무의식적으로 감정을 조절하기 위해서 스스로를 터치한다. 어떤 사람은 책을 읽는 순간에 얼굴이나 손을 터치한다. 우리는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자신을 터치할 것을 제안한다.”고 드레어소너 연구원은 말한다.
이 연구는 학술지 Comprehensive Psychoneuroendocrinology에 발표되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