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교호작용을 고려하지 않는 4인자 3수준의 실험계획법(L9 설계) 후 분산분석 시 오차항을 어떤것으로 잡아야 하나요?
일부 논문에서 특성치의 제곱합이 가장 작은 항을 오차항으로 풀링하여 분산비를 구한다고 봤습니다.
|
합 |
자유도 |
V |
F비 |
A |
306.06 |
2 |
153.03 |
2.964932 |
B |
237.0067 |
2 |
118.5033 |
2.295983 |
C |
277.2467 |
2 |
138.6233 |
2.685805 |
D |
103.2267 |
2 |
51.61333 |
1 |
제 실험결과는 위와 같았고, D 인자의 제곱합이 가장 작아 이를 오차항으로 취급 후 F비를 구했는데 이 값 모두 유의하지 않았습니다.
1) 이 경우 어떤 인자를 오차항으로 잡아야 할까요?
2) 4인자 3수준 실험계획법(L9)에서 최대 인자 4개의 주효과가 검출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실험 후 1개 인자를 무조건 오차항으로 잡아야한다면 인자 효과 분석은 3개만 확인 가능한거 아닌가요?
가 질문입니다.
교수님의 고견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