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성분 분석과 요인분석의 경우
부하를 구하는 것이나 주성분 점수, 요인 점수 계산 방법은 동일합니다.
주성분 분석은 원변수를 주성분변수(주성분 점수, 상관계수=0)로 변환하고 일부 주성분(모든 원변수의 선형결합)만 사용합니다.
요인분석의 경우 요인점수를 구하는 방법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 주성분 점수를 이용합니다.
그러므로 주성분 점수(변수)와 요인 점수는 동일합니다.
그러므로 외형적으로는 동일합니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요인분석은 원변수(일반적으로 요인분석은 리커트 척도 설문문항 배타적 분류)를 배타적으로 분류하는데 있습니다.
요인분석은 문항 분류에 사용되므로 요인점수를 이용하기 보다는
부하의 크기에 의해 (그래서 요인분석의 경우 부하의 구별이 용이하도록 차원을 회전하게 되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 VARIMAX 방법입니다) 문항(변수)을 배타적으로 분류하여
동일 그룹으로 분류된 문항의 평균 값을 향후 분석에 사용됩니다.
이 경우 경영학에서는 요인점수(주성분 점수와 동일하므로 모든 원변수 영향이 있음, 부하의 크기기에 따라 상이하나)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주성분 점수와 동일합니다.
결론적으로 요인분석은 설문의 리커트 척도 문항의 배타적 분류에 사용되며, 요인점수 대신 분류된 문항들만의 평균을 사용합니다.
Best wis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