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평균제곱의 기대값

779 views
Skip to first unread message
Message has been deleted

통계상담_한남대권세혁교수

unread,
Apr 21, 2017, 7:12:35 PM4/21/17
to 통계상담Q&A그룹 : 한남대학교 권세혁교수
선형모형 (회귀분석+분산분석)은 변량 개념으로 가설을 검정합니다.

회귀모형 Y=a+bX+e, e~iidN(0, 𝛔^2) 
-> 평균제곱의 기대값 - E(MSE=평균오차제곱)=𝛔^2, E(MSR=평균모형오차)=𝛔^2+b^2*SUM(Xi-barX)
그러므로 MSR/MSE의 기대값은 1+b^2*SUM(Xi-barX)/𝛔^2 으로
  1) b=0이거나 SUM(Xi-barX)=0 일 경우  F=MSR/MSE=1입니다. 
   모든 X 값이 동일할 경우에만 SUM(Xi-barX)=0이므로 결국은 b에 대한 0(설명변수 X가 유의)을 검정하는 것임
  2)그러므로 MSR/MSE 을 이용하여 귀무가설 : b=0  을 검정합니다.
  3) F=MSR/MSE 값이 커지면 귀무가설을 기각하게 됩니다.

분산분석 도 동일 : Y=u+Ai+e_ij, 그룹 i=1,2,,...k, 각 그룹 반복 수 n_i, e_ij~iidN(0, 𝛔^2) 
E(MSE 평균오차(집단내)변동)=𝛔^2
E(MSB or MSTr 평균집단간변동)=𝛔^2+SUM{n_i(u_i-u)}^2
그러므로 MSB/MSE는 (u_i-u)=0 일 때 1이다. (u_i-u)이 커지면(<=> 집단 평균이 총평균과 차이가 커지면), 즉 집단 간 평균의 차이가 커지면 F 값이 커집니다.
그러므로 F 값은 "귀무가설 : 집단 모든 평균은 차이가 없다, 동일하다"을 검정하는 사용합니다.

기대 평균 개념을 이용하여 귀무가설을 검정합니다.

동일하게 2개 요인(변량 혹은 혼합) 교호효과가 존재하는 모형에서 요인의 주효과 검정 시 교호작용의 MS를 사용하는 이유도 동일합니다.
혼합모형에서 고정효과 주효과 검정은 여전히 MSE입니다. 변량요인 주효과만 교호작용 MS 사용합니다.
수식을 사용하기 복잡하여 구글링 하여 그림을 첩부합니다. 

도움이 되기를





 
mixed.tiff
Message has been deleted

통계상담_한남대권세혁교수

unread,
Apr 22, 2017, 5:57:51 PM4/22/17
to 통계상담Q&A그룹 : 한남대학교 권세혁교수
기대값 개념에 대하여...(보충)
평균제곱은 통계량이고 통계량의 기대값이 모수이면 그 통계량은 모수의 불편 추정량입니다. (실제로 통계학에서 사용되는 통계량은 최소분산 불편 추정량입니다. MVUE
예를 들면 표본평균의 기대값은 모집단 평균이며 모수인 모집단 평균의 가장 좋은 추정치입니다.
동일하게 MSE의 기대값은 모수 𝛔^2이고 추정량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므로 기대값은 불편추정량-> 결국은 MVUE가 되는 것입니다.
통계적 가설은 모수로 정의되며, 모수의 가장 좋은 통계량 MVUE를 이용하여 검정하게 됩니다.

2017년 4월 22일 토요일 오후 7시 23분 53초 UTC+9, IK HONG 님의 말:
교수님의 설명을 읽고, 평균제곱의 기대값을 개념적으로 완벽하게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어떻게 활용되는 지를 이해하는데는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성스레 달아주신 답글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17년 4월 22일 토요일 오전 8시 12분 35초 UTC+9, 통계상담_한남대권세혁교수 님의 말:
Reply all
Reply to author
Forward
0 new mess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