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1) 질문내용대로 유의하지 않은 변수는 제외하고 회귀모형 추정을 다시 한 후
유의한 변수로 추정된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만약 소거하지 못한 경우에는 질문에 적은대로 전채 회귀모형은 유의하였으며,
유의한 변수는 x, x1이라고 기술하면 됩니다.
유의한 두 변수 중 어느 것이 더 종속변수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지는
표준화 회귀계수의 크기를 활용하여 설명하면 됩니다.
2) 회귀분석에서 설명변수의 동일한 값(위의 예제에서는 169cm(?), 170cm)에서 여러번 종속변수(몸무게) 관측이 되면
실험설계(분산분석) 측면에서 동일 실험조건의 반복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여 오차 변동이 과다 추정됩니다.
이론적 설명은 간단한데,... 이런 경우에는 회귀분석, 분산분석을 동시에 실행하여 회귀 오차변동을 순수(pure)오차와 적합결여 (lack of fits) 오차변동으로 나누어
키에 대한 유의성 검정을 하면 됩니다.
그런데 위의 경우에는 모든 설명변수 값에서 2개 이상의 반복 관측이 일어난 것이 아니므로
169cm, 170cm 각각 평균 몸무게를 구하여 하나만 관특된 것처럼 데이터 분석을 하면 될 것 같습니다.
결론적으로는 설명변수 개별 값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종속변수 값이 관측되면 회귀모형의 오차변동을 나누어
적합결여(회귀직선) 유의성 검정을 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그리고 RSM(Response Surface Methodology 반응표면방법) 적용한 분석 방법을 권장합니다.
Best wis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