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개회귀분석 관련 문의 드립니다.

956 views
Skip to first unread message

Kang Wook Cho

unread,
Aug 9, 2015, 6:32:31 AM8/9/15
to 통계상담Q&A그룹 : 한남대학교 권세혁교수
다시한번 지난번 조절효과 변수 선택에 대한 답변 감사드립니다.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아울러서 추가의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현재 진행중인 논문의 또다른 가설 검증을 위해 매개 회귀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변수의 수는 조절효과 분석과 같이, 독립변수 하부요인 8개, 매개변수 4개, 종속변수 1개 입니다.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아래와 같이 실시하였습니다/
 1단계 : 독립변수 8개와 매개변수 4개ㅇ(각 1개씩) 4번의 다중회귀방정식을 진행하였습니다.
 2단계 : 독립변수 8개와 종속변수 1개의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3단계 ; 독립변수 8개, 매개변수 4개와 종속변수간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분석은 
1단계, 4번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4개의 매개변수에 공통으로 유의한 독립변수를 추출하고, 
2단계, 1단계에서 추출된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유의성을 재 확인 하였습니다.
3단계. 1,2단계에서 추춛된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최종 유의성을 재재차 확인하였습니다.

결론은 2단계 독립변수의 표준화계수값이 동일 독립변수의 3단계 표준화 계수값보다 크면, 매개변수가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 1,2단계에서 유효한 독립변수가 3단계에서 유효하지 않으면, 매개변수가 완전매개효과가 있다고 해석하였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회귀분석 1,2,3을 거쳐 부분 및 완전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한, 독립변수, 매개변수의 베타값과 오차항을 이용, 최종적으로 독립변수의 간접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재 확인하였습니다.  결과는 매개회귀분석 1,2,3을 통해 부분 및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독립변수 일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습니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매개효과 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관련해서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독립변수 8개를 상기 방식과 같이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한꺼번에 넣어서 진행하면 되는 지 여부와 
2. 매개변수 4개에 공통으로 유의한 독립변수를 추출하여 1,2차의 유의성을 확인하는 것이 맞는지 
3. 부분매개효과와 완전매개효과 분석이 상기 방법을 통해 분석하는 것이 맞는지 
4. 매개회귀분석 후, 다시 한번 Sobel test를 의무적으로 진행해야하는 지 
5. 매개회귀분석의 결과분석방법과 Soble test의 결과분석 방법을 어떻게 다르게 표현해야 하는지, 아님, Soble test의 결과를 최종 결과로 봐야하는 지 
6. 마지막으로 1차 매개회귀분석에서 유의한 독립변수 1개가  2차분석에서는 t값이 1.96, p값이 0.05로 유의성 판단의 숫자와 딱 일치하고 , Sobel test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 z값 >1.96, p<0.05)가 나타났을 경우 이 독립변수를 매개효과 및 간접효과가 있다고 분석하는 것이 맞는지 여부 등

상기의 질문에 대한 교수님의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 

분석진행시 궁금했던 점을 너무 많이 여쭤 봐서 죄송합니다.

교수님의 고견이 제 연구의 방향 설정에 많은 도움이 되곘습니다. 

감사합니다. 

   


통계상담_한남대권세혁교수

unread,
Aug 9, 2015, 11:51:55 PM8/9/15
to 통계상담Q&A그룹 : 한남대학교 권세혁교수
위의 방법에 의해 매개변수를 확인하는 방법을 Baron and Kenny 방법이라고 합니다.
매개변수를 다른 방법으로 검중하는 것은 Sobel 검정이라 합니다. (Baron 방법보다 정확하지만 검정력이 낮음) 
그러므로 둘 중 하나만 사용하면 됩니다. (사용한 분석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함)

1) 종속변수 <- 설명변수 들
2) 매개변수 <- 설명변수 들 (매개변수 개수만큼) - 4번
3) 종속변수 <-매개변수 한개, 설명변수 들 - 4번 (매개변수를 하나씩 개별적으로 넣기)

4개의 결과 세트를 이용하여 아래를 각각 4번 분석하여 - 개별 매개변수들에 대한 매개효과 정리
결과 3)에서 매개변수의 회귀계수는 유의, 개별 설명변수의 회귀계수 크기는 결과1)보다 작아짐 (부분 매개) 혹은 유의하지 않음 (완전매개)

 만약 매개변수 4개 효과를 동시에 검증하려면 구조방정식(LISREL) 모형을 이용하는 것이 적절함 - 모형 설정이 쉽지 않고 주관적 해석이 가능함

Best wishes,

Seongho Bae

unread,
Mar 22, 2016, 3:05:16 PM3/22/16
to 통계상담Q&A그룹 : 한남대학교 권세혁교수
몇 가지 오해가 있어서 Baron & Kenny (1986) 연구를 소개합니다.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51(6), 1173.

전제: 반응 변수를 설명하는 설명 변수끼리 관계는 원-근거리 (distal-proximal distance paradigm) 이론에 따라 배열 될 수 있음. (지극히 심리학스러운 생각)

4단계 검증 단계 (반응변수 하나에 한해)
1) 반응 변수 Y를 설명하는 원거리 설명 변수 X가 Y와 관련이 있어야 합니다.
2) Y를 설명하는 근거리 설명 변수 M (매개 변수)이 Y와 관련이 있어야 합니다.
3) 근거리 설명 변수 M을 설명하는 원거리 설명 변수 X가 M과 관련이 있어야 합니다.
4) Y = b0 + b1X + b2M + e이라는 회귀 모형을 만들면 b1 slope가 0이 되어야 합니다.

이 때, Sobel (1982)는 Baron & Kenny (1986) 연구가 인용한 것으로서, (절대로 Baron & Kenny를 대체하는 새로운 방법이 아닙니다.)

1) 3단계에서 구한 M = b0 + b1X + e 에서 b1의 slope를 a라 부르고,
2) 4단계에서 구한 Y = b0 + b1X + b2M + e에서 b2의 slope를 b라 부를 때,
3) slope product a*b 모수가 95% 신뢰구간 안에 있어야 합니다. (모수 추정을 수 차례 반복했을 때 a*b 모수는 0을 포함하면 안 됨)

이후 비평이 많이 나왔으니 Preacher 혹은 A. F. Hayes 저술을 확인해 보세요.

-
배성호 배상
심리학 박사과정

통계상담_한남대권세혁교수

unread,
Mar 22, 2016, 7:13:49 PM3/22/16
to 통계상담Q&A그룹 : 한남대학교 권세혁교수
배성호님,

귀한 답변 감사합니다.
사회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척도 부분이나
Moderating / Mediating 효과에 대한  지속적 팔로우가 없어 
이 분야에 대한 답변할 때 늘 부족함을 느꼈습니다.
 자주 들러 귀한 의견 주시기 바랍니다.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Message has been deleted

통계상담_한남대권세혁교수

unread,
Jun 26, 2019, 8:18:22 PM6/26/19
to 통계상담Q&A그룹 : 한남대학교 권세혁교수
모든 변수를 고려하여 매개변수, 조절변수 검증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 방법을 구조방정식 모형이라 하고 SPSS는 AMOS, SAS는 PROC CALIS에서 가능합니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주요 단계는 모형 구성인데, 
이는 이론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구축되어야 합니다.

(연구) 논문 관련 내용인 것 같은데, 피상적 상담은 적절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많은 도움을 드리지 못해 미안합니다. 
Reply all
Reply to author
Forward
0 new mess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