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한번 지난번 조절효과 변수 선택에 대한 답변 감사드립니다.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아울러서 추가의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현재 진행중인 논문의 또다른 가설 검증을 위해 매개 회귀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변수의 수는 조절효과 분석과 같이, 독립변수 하부요인 8개, 매개변수 4개, 종속변수 1개 입니다.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아래와 같이 실시하였습니다/
1단계 : 독립변수 8개와 매개변수 4개ㅇ(각 1개씩) 4번의 다중회귀방정식을 진행하였습니다.
2단계 : 독립변수 8개와 종속변수 1개의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3단계 ; 독립변수 8개, 매개변수 4개와 종속변수간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분석은
1단계, 4번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4개의 매개변수에 공통으로 유의한 독립변수를 추출하고,
2단계, 1단계에서 추출된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유의성을 재 확인 하였습니다.
3단계. 1,2단계에서 추춛된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최종 유의성을 재재차 확인하였습니다.
결론은 2단계 독립변수의 표준화계수값이 동일 독립변수의 3단계 표준화 계수값보다 크면, 매개변수가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 1,2단계에서 유효한 독립변수가 3단계에서 유효하지 않으면, 매개변수가 완전매개효과가 있다고 해석하였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회귀분석 1,2,3을 거쳐 부분 및 완전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한, 독립변수, 매개변수의 베타값과 오차항을 이용, 최종적으로 독립변수의 간접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재 확인하였습니다. 결과는 매개회귀분석 1,2,3을 통해 부분 및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독립변수 일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습니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매개효과 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관련해서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독립변수 8개를 상기 방식과 같이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한꺼번에 넣어서 진행하면 되는 지 여부와
2. 매개변수 4개에 공통으로 유의한 독립변수를 추출하여 1,2차의 유의성을 확인하는 것이 맞는지
3. 부분매개효과와 완전매개효과 분석이 상기 방법을 통해 분석하는 것이 맞는지
4. 매개회귀분석 후, 다시 한번 Sobel test를 의무적으로 진행해야하는 지
5. 매개회귀분석의 결과분석방법과 Soble test의 결과분석 방법을 어떻게 다르게 표현해야 하는지, 아님, Soble test의 결과를 최종 결과로 봐야하는 지
6. 마지막으로 1차 매개회귀분석에서 유의한 독립변수 1개가 2차분석에서는 t값이 1.96, p값이 0.05로 유의성 판단의 숫자와 딱 일치하고 , Sobel test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 z값 >1.96, p<0.05)가 나타났을 경우 이 독립변수를 매개효과 및 간접효과가 있다고 분석하는 것이 맞는지 여부 등
상기의 질문에 대한 교수님의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
분석진행시 궁금했던 점을 너무 많이 여쭤 봐서 죄송합니다.
교수님의 고견이 제 연구의 방향 설정에 많은 도움이 되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