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 분석 관련해서 문의 드립니다.

1,206 views
Skip to first unread message

Eunsik KIM

unread,
Jul 30, 2014, 11:32:20 PM7/30/14
to ping_w...@googlegroups.com
안녕하세요 평소에 교수님 홈페이지에서 통계에 관한 정보를 얻어가는 학생입니다.

몇년간 설문지 분석에 대해 공부를 안했더니..개념들이 많이 헷갈리는 상태입니다.

제가 만일 사용자 만족도에 대한 16개의 문항을 Likert scale (5점 척도: strongly disagree, disagree, neutral, agree, strongly agree)로 20명에게 설문지를 받았다고 가정하면...(16가지 문항외의 항목은 나이, 성별, 이전 사용여부 입니다.)

첫번째 질문은 Likert scale을 ordial로 봐야하는지 interval로 봐야하는지 헷갈립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ordinal인데 몇몇 논문에서 interval로 간주하고 통계분석을 한 것을 보아서....그리고 교수님 lecture note에 교차분석 파트에서 "선택하는 전공에 따른 입학한 것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는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라는 부분에서 유추하기로는 interval로 간주하시는거 같은데....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이 설문지의 가설은 크게 세가지 입니다.
1. 성별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2. 나이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나이<=median -> younger, 나이>=median->older)
3. 이전 사용여부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만일  Likert scale을 ordinal로 간주하였을시 제가 생각하는 분석방법은 non-parametrics로 3가지 가설에 대해 각각 Mann-Whitney Test를 각 문항(16번)에 대해 돌리는 건데....이렇게 하면 총 16*3=48번 분석하는 건데....이렇게 해되 되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1,2가설을 합쳐서 총 4그룹으로 묶어서 (어린남, 어른남, 어린여,어른여) kruskal-wallis test를 각 문항에 대해 분석해야하는지...

이 두 방법의 차이가 무엇인지도 궁금합니다.

위의 두 방법외에 추가적으로 교차 분석을 할려고 하는데...예를 들어 위의 결과들이 유의하게 나오지 않을 시에 교차분석으로 (물론 교차분석또한 유의하지 않게 나오겠지만...) 각 항목에 대해 빈도를 보여줄려고 하는데 의미가 있을련지 궁금합니다.

 Likert scale을 interval로 간주한다면 정규성 검정을 통해 T-test와 ANOVA로 같은 형식으로 하면 될거 같은데...


혹시 다른 좋은 분석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통계상담_한남대권세혁교수

unread,
Jul 31, 2014, 6:44:00 PM7/31/14
to ping_w...@googlegroups.com
설문조사의 경우 리커트 적도 문항은 순서형으로 간주하기 보다는 측정형으로 간주하여 모수적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비모수는 표본크기가 작고  데이터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 경우 사용합니다. 그래서 설문조사(리커트는 좌우대칭 분포, 보통 표본크기 100명 시앙) 방법론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일반적 통계방법론은 만족도(Y) <-(성별, 나이, 이전 사용여부)를 요인으로 한 3원 분산분석으로 하면 되나,
설문조사에서는 요인들의 겹합 수준에 의한 실험 설계를 통하여 얻어진 데이터가 아니므로,
그냥 개별적인 분석을 하면 됩니다.
만족도<-성별에 의한 독립표본  평균차이 t-검정,
만족도<-나이에 의한 독립표본  평균차이 t-검정 ... 만약 3수준 이상인 경우(예: 학년별 )에는 일원분산분석 하면 됩니다.
 
Best wishes, 

Seongho Bae

unread,
Aug 11, 2014, 2:48:07 PM8/11/14
to ping_w...@googlegroups.com
심리학과에서 통계하는 입장에서 의견을 첨부해 봅니다.

명명척도, 서열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라는 개념은 실험심리학 저널에서 처음 나타난 개념입니다. 그리고 심리학에서 Likert 척도의 지위는 본래 서열 척도가 맞습니다.

하지만, 계산의 편리성을 위해 등간척도로 보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다변량 정상성만 위배하지 않는다면 Likert 척도는 등간 척도로 취급하여 계산하여도 됩니다.

최근에 심리학 계통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공분산구조분석)을 사용함에 있어 Likert 척도를 서열척도로 계산하는 방법이 부상하고 있으며, 계산은 복잡하지만 조금 더 우월한 측면이 있음을 보여주고는 있는 상태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다변량 정상성의 심각한 위배 등 특수한 경우에 쓰일 뿐, 그다지 널리 쓰이지는 않고 있습니다.
Reply all
Reply to author
Forward
0 new mess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