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소에 교수님 홈페이지에서 통계에 관한 정보를 얻어가는 학생입니다.
몇년간 설문지 분석에 대해 공부를 안했더니..개념들이 많이 헷갈리는 상태입니다.
제가 만일 사용자 만족도에 대한 16개의 문항을 Likert scale (5점 척도: strongly disagree, disagree, neutral, agree, strongly agree)로 20명에게 설문지를 받았다고 가정하면...(16가지 문항외의 항목은 나이, 성별, 이전 사용여부 입니다.)
첫번째 질문은 Likert scale을 ordial로 봐야하는지 interval로 봐야하는지 헷갈립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ordinal인데 몇몇 논문에서 interval로 간주하고 통계분석을 한 것을 보아서....그리고 교수님 lecture note에 교차분석 파트에서 "선택하는 전공에 따른 입학한 것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는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라는 부분에서 유추하기로는 interval로 간주하시는거 같은데....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이 설문지의 가설은 크게 세가지 입니다.
1. 성별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2. 나이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나이<=median -> younger, 나이>=median->older)
3. 이전 사용여부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만일 Likert scale을 ordinal로 간주하였을시 제가 생각하는 분석방법은 non-parametrics로 3가지 가설에 대해 각각 Mann-Whitney Test를 각 문항(16번)에 대해 돌리는 건데....이렇게 하면 총 16*3=48번 분석하는 건데....이렇게 해되 되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1,2가설을 합쳐서 총 4그룹으로 묶어서 (어린남, 어른남, 어린여,어른여) kruskal-wallis test를 각 문항에 대해 분석해야하는지...
이 두 방법의 차이가 무엇인지도 궁금합니다.
위의 두 방법외에 추가적으로 교차 분석을 할려고 하는데...예를 들어 위의 결과들이 유의하게 나오지 않을 시에 교차분석으로 (물론 교차분석또한 유의하지 않게 나오겠지만...) 각 항목에 대해 빈도를 보여줄려고 하는데 의미가 있을련지 궁금합니다.
Likert scale을 interval로 간주한다면 정규성 검정을 통해 T-test와 ANOVA로 같은 형식으로 하면 될거 같은데...
혹시 다른 좋은 분석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