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답변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1. 공간인덱스 생성 및 범위 갱신
(1) Postgresql에서 가져온 데이터는 공간인덱스 생성이 되지 않아 확인하지 못하였습니다. (어찌 보면 생성 안되는 것이 맞을거 같으면서도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찾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2) 원본 Shape 파일을 QGIS에서 바로 열어 확인해 본 결과 공간인덱스를 생성하고 범위 갱신을 한 후 속도가 확연하게 빨라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3) 시스템 구축 시 어떤 구조를 가져가야 할 지 좀 더 숙고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2. 리눅스에서 대용량 정보 처리에 더 유리하다고 말씀하신 부분은 Shape 파일 자체를 말씀하시는 것인지요? Postgresql을 리눅스에 설치해서 처리해야 한다는 것인지요?
(1) Linux에 익숙하지 않아 말씀해 주신 WSLg도 함께 검토해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2) 결국 전체 시스템 구축 시에 OS 선정도 고려 사항에 포함해야 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3. OSM 보다 너무 느려 함께 테스트 해 본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4. 램과 SSD도 시스템 구축 시에 고려해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저도 아직 어느 정도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지 범위가 정해져 있지 않아 고민이 많습니다.
(1) 다만, 여러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을 진행하는 환경을 구축해야 해서 DBMS(Postgresql 등)을 사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2) "QGIS 서버"라는 것이 있던데 이 내용은 아직 확인해 보지 못하였습니다. 혹시 동시 사용자가 함께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지요?
5. Postgresql에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보다 원본 Shape에 공간 인덱스를 설정한 것이 월등히 빠른 것은 확인 하였습니다.
(1) 시스템 구축 시 중앙 관리 데이터는 DBMS(Postgresql 등)에서 사용하고 사용자들은 Shape을 가지고 작업하고
(2) 데이터 입력시에만 DBMS(Postgresql 등)에 입력하는 방안에 대해 프로세스가 필요 할 것 같습니다.
6. 커멘드 툴에는 아직 익숙하지 않지만, 작성해 주신 URL에서 ogr2ogr 확인 후 테스트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7. 현재 데이터가 통판으로 되어 있는데
Scale Filtering이 가능한 것인지요?
(1) 아직 행정계 단위 또는 메시 단위를 결정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2) 행정계 단위 또는 메시 단위가 정의 되고 나면 해당 영역의 데이터만 추출하여 속도를 개선 시키는 것까지만 구상하고 있습니다.
(3) 하지만, 각 단위의 경계 부분 처리에 대해 추가 고려해야 하는 부분에 대해 아직 결정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이렇게 작성하고 보니 해야 할 일은 많은데 너무 국소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 좀 생기네요.
다만,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경험 부족으로 여쭙는 내용이 많은 것도 사실 입니다.
다시 한 번 답변 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행복하세요~
2022년 3월 3일 목요일 오후 3시 1분 43초 UTC+9에 Shin, Sanghee님이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