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저희 IDC 내 개발 장비들이 사설DNS 가 관리되지 않는지라, IP와 장비 호스트명을 혼용해서 사용하다보니 위와 같은 이슈가 발생한 거 같네요.
readme.md 첫번째 항목에서 왜 HOST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지 몸소 체감을 했습니다.
그런데 궁금한 점은 arcus 환경설정 jons(arcus.json) 에서
arcus.json
{
"serviceCode" : "[서비스코드]"
, "servers" : [
{ "hostname" : "cache01" , "ip" : "[캐시01노드아이피]" ,
"config" : {
"threads" : "6"
, "memlimit" : "6000"
, "port" : "11211"
, "connections" : "4000"
}
}
, { "hostname" : "cache01" , "ip" : "[캐시01노드아이피]" ,
"config" : {
"threads" : "6"
, "memlimit" : "6000"
, "port" : "11212"
, "connections" : "4000"
}
}
, { "hostname" : "cache02" , "ip" : "[캐시02노드아이피]" ,
"config" : {
"threads" : "6"
, "memlimit" : "6000"
, "port" : "11211"
, "connections" : "4000"
}
}
...
|
위와 같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즉
"hostname"
:
"cache01"
,
"ip"
:
"[캐시01노드아이피]"
,
에서 hostsname에는 장비호스가 등록되어 있고 IP에는 IP가 설정되어 있는데 왜 IP가 나오냐 입니다.
arcus hubble UI 좌측상단 [서비스코드]에 해당 하는 캐시노드 콤보박스를 조회 시에는 hostname이 조회되는 것이 아니라 ip로 노출되는지 궁금합니다.
* ZK 장비에서 /etc/hosts 확인 결과 해당 캐시노드들 장비 hosts 가 등록되지 않았기 때문에 IP가 노출되지 않냐 예상해봅니다.
정리해서 제가 해결방안을 아래에 서술해보면
ZK 앙상블 각 장비에서 캐시노드에 대한 이름을 IP로 되어있는데
각 ZK 장비 /etc/hosts 에 모든 등록된 캐시서버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캐시노드아이피 캐시노드장비명" (ex:10.10.10.11 cache01)으로 hosts를 등록하고
ZK 장비를 restart하면 문제 해결이 된다고 보면 되는지 확인해봅니다.
* ZK 장비를 restart 하면 모든 서비스에서 캐시 연결 때문에 장애가 예상되므로 이슈최소화를 위해 정기점검 시간이 진행해야할 거 같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문의드립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__)
2015년 8월 5일 수요일 오후 6시 51분 8초 UTC+9, WookHwan Choi 님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