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양자점-유기발광다이오드(QD-OLED) 패치 개발

47 views
Skip to first unread message

전용민

unread,
Nov 3, 2024, 9:04:40 AM11/3/24
to NOTICE
빛으로 탈모 치료하는 시대 열린다 ··· 세계 첫 패치형 탈모치료 전자약 개발
국내 연구팀, 모발세포 최대 23% 증식 효과 확인 ··· 심박수 측정 전자약 활용도 기대

“상용화 수준 고출력 QD-OLED 패치 기술 확보 ··· 전자약, 센서, 광의학 등에도 활용”
확대이미지

(왼쪽부터) 전용민 가천대학교 의공학과 교수, 권상직 전자공학과 교수, 김영우 반도체공학과 연구원, 권정현 충북대학교  반도체공학부 교수
[헬스코리아뉴스 / 이창용] 탈모 피부에 부착하면 모발 증식 효과를 내는 양자점-유기발광다이오드(QD-OLED) 패치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QD-OLED가 웨어러블 전자약으로 개발된 건 세계 최초다.

가천대학교 전용민, 권상직, 조의식 교수 연구팀은 ㈜이노큐디, 충북대 권정현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실시간으로 광 파장 변환이 가능한 고출력 의료용 웨어러블 QD-OLED 패치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용어 설명]

* QD-OLED: 양자점(QD, Quantum Dot)은 입자 크기에 따라 색깔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작은 반도체 결정을 뜻한다. 양자점-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이런 양자점의 특성을 이용해 기존 LED보다 다양한 색의 빛을 내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주로 쓰인다.

인체에 부착해 실시간 진단·치료를 할 수 있는 웨어러블 OLED 기술은 헬스케어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웨어러블 기기나 전자약에 OLED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낮은 전압에도 출력이 높고 유연하며 자유롭게 파장 변환이 가능해야 한다. 하지만 기존 OLED는 고출력과 실시간 파장 변화가 어려워 다양한 목적에 맞는 전자약 구현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고출력, 실시간 광변환이 가능한 웨어러블 QD-OLED 패치를 개발하기 위해 병렬 적층형 청색광 OLED와 유연한 QD 필름 및 다기능성 봉지막 핵심기술을 개발했다. 봉지막 공정은 OLED 제조 과정에서 산소와 수분이 유기물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밀봉해 제품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연구팀은 OLED를 한 픽셀에 병렬로 적층해 저전압에서도 고출력이 나올 수 있는 청색 OLED를 제작, 단층 청색광 OLED보다 435% 향상된 고출력 청색 OLED의 성능을 확보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다기능성 봉지막 필름은 나노적층화층이 수분과 산소로부터 OLED를 보호하는 가스확산장벽 역할과 청색광 반사 역할을 해 기존 15%였던 양자점 광변환 효율을 최대 68%까지 증대시켰다.

 

[용어설명]

* 나노적층화 (Nanolaminate): 밀도가 높은 초미립자 고체를 원자 단위 증착 기술을 활용하여 생산된 박막.

* 가스확산장벽: 두 개의 다른 금속이 적층되었을 때 서로 손상을 방지하는 장벽.


[QD-OLED 패치 및 성능]
(a) QD-OLED 패치에 대한 개요, (b) 병렬적층 OLED와 단층 OLED들에 대한 출력 세기 그래프, (c) 다양한 파장대의 QD 필름을 적용한 QD-OLED 파장 그래프, (d) 다양한 파장대의 QD 필름이 적용된 QD-OLED에 대한 출력 세기 그래프. [그림·설명=한국연구재단 제공]
연구팀은 이를 OLED의 봉지막에 적용하고 QD-필름의 발광부에 부착해 고성능, 다기능성 QD-OLED 패치를 개발해냈다.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웨어러블 QD-OLED를 이용해 모발치료 및 심박수 측정 성능을 검증한 결과, 모발의 성장을 담당하는 모유두세포에 해당 패치를 부착했을 때 최대 23%까지 증식 효과를 보였고, 실시간으로 심박수 측정도 가능한 사실을 확인했다. 

 


사람에게 부착되어 사용되는 QD-OLED 패치를 이용해 모발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거나, 심박을 측정하는 기능을 표현한 그림 [그림·설명=한국연구재단 제공]
전 교수는 “상용화 수준의 고출력, 고신뢰성의 QD-OLED 패치 기술을 확보했다”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전자약, 센서, 광의학 등에서도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화학 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Chemical Engineering Journal)’ 9월 25일 자에 게재됐다.

출처 : 헬스코리아뉴스(http://www.hkn24.com)
Reply all
Reply to author
Forward
0 new mess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