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공머신/딥러닝] chapter 08-01, p428 질문 있습니다.

25 views
Skip to first unread message

Yutae Choi

unread,
Jan 24, 2025, 2:31:30 AMJan 24
to 머신러닝/딥러닝 도서 Q&A
p428의 그림을 보면 (2,2)의 특성맵이 하나로 합쳐져서 (2,2,3)으로 shape 가지는 것으로 나오는데, (2,2) 영상이 3개라면 (3,2,2)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chapter 7, fashion MNIST에서 영상 handle시에도 28x28 영상이 60000개 있다면, 이 때 shape는 (60000,28,28)로 다루어서 어떤 것이 맞는지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Haesun Park

unread,
Mar 9, 2025, 9:46:25 PMMar 9
to Yutae Choi, 머신러닝/딥러닝 도서 Q&A
안녕하세요. 박해선입니다.
메일이 스팸으로 처리되어 이제 보았네요.
텐서플로는 기본적으로 합성곱 층이 계산한 특성을 마지막 차원에 놓습니다.
파이토치는 기본적으로 (배치 차원을 제외한) 첫 번째 차원에 놓습니다.
이는 라이브러리 선택 사항이며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샘플 개수에 해당하는 배치 차원은 첫 번째에 위치합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 1월 24일 (금) 오후 4:31, Yutae Choi <cyt...@gmail.com>님이 작성:
p428의 그림을 보면 (2,2)의 특성맵이 하나로 합쳐져서 (2,2,3)으로 shape 가지는 것으로 나오는데, (2,2) 영상이 3개라면 (3,2,2)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chapter 7, fashion MNIST에서 영상 handle시에도 28x28 영상이 60000개 있다면, 이 때 shape는 (60000,28,28)로 다루어서 어떤 것이 맞는지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
이 메일은 Google 그룹스 '머신러닝/딥러닝 도서 Q&A' 그룹에 가입한 분들에게 전송되는 메시지입니다.
이 그룹에서 탈퇴하고 더 이상 이메일을 받지 않으려면 ml-dl-book-qn...@googlegroups.com에 이메일을 보내세요.
이 토론을 보려면 https://groups.google.com/d/msgid/ml-dl-book-qna/052482e2-6469-4461-96dc-09838814c22en%40googlegroups.com 페이지로 이동하세요.
Reply all
Reply to author
Forward
0 new mess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