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자님.
혼공학습단 13기 5주차 학습 중에 질문있어 글 남깁니다.
주성분 분석 관련해서 책 322쪽에 일반적으로 주성분은 원본 특성의 개수만큼 찾을 수 있다 고 명시되어 있고, 확인 문제 337쪽 1번에 대한 해설에서도 동일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키워드로 끝내는 핵심 포인트에서 주성분 분석에 대한 설명에서 마지막 문장에는
일반적으로 주성분은 원본 데이터에 있는 특성 개수보다 작습니다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주성분 분석이 차원 축소 알고리즘의 하나로 알고 있지만
차원 축소됨에 따라 원본 데이터가 가진 특성에서 줄어들어서
개수보다 작다고 설명한 것으로 이해는 되었지만 약간 표현이 애매한 측면이 있어 보입니다.
주성분 분석을 통해 차원이 축소 되더라도 복원을 할 수 있다보니
주성분 자체가 사라지는 의미라고 보긴 힘들지 않을까 싶어서요.
혹시 어떤 의미로 적은 건지 알 수 있을까요?
아무쪼록 이렇게 머신러닝과 딥러닝에 대해 공부할 수 있도록 집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미리 답변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