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 후기를 오늘 작성하게 되네요.(사실....집 컴퓨터가 무한재부팅 모드로 들어가버리는
바람에..글 작성을 완성하기전에...............)
이번 주 스터디모임 인원은 6명 남자3 여자3분으로 시작하였습니다.
모임을 7시 반으로 시간약속을 잡았으나 약속 장소까지의 거리가 꽤 되시는 분들고 많고
저녘을 드시지 못하시는 분들도 많았기 때문에 스터디 시간을 8시로 변경해야한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이번 주 스터디 모임의 전반적인 주제는 헤딩, pre-formatted, img 정도로 요약할 수 있으며,
마음가짐을 좀 정비를 했다고 해야할까요? 항상 웹표준, 웹접근성을 하면서 알면서도 간과했던 부분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하는 계
기가 된거 같습니다.
우선 지난 주 토론이었던 "h1을 한페이지에서 두번써도 되는가?"에 대해서 다시한번 얘기를 했습니다.
여러가지 의견들이 있었지만 페이지 내용 중 중요한 내용이 컨텐츠라고 생각한다면 h1을 다시 쓸 수도 있다라는 의견을 내기도 했습
니다.
pre-formatted태그는 표준 태그이기는 하나 웹접근성에는 위배되기 때문에 "소스코드"같이 비정형화코드를 뿌려줄 때 사용하
면 유용하다라는 의견도 나왔구요...
마지막으로 img태그에 대한 토론입니다.
사실 이번 주 스터디내용에 대해서 준비할 때 저 개인적으로 img태그에 관해 궁금한게 있었습니다.
음..일단 저의 잘못된 지식으로는 이미지에 대해서 표현하는 것이 <input type="image" src="주소"
value="내용"/>와 css의 background :url(..주소)와 img 태그라고 생각했습니다.
허나 html 마크업에서 이미지를 제어하는 것은 img태그밖에 없다라는 다들 아시는 사실은 이제서야 깨닫게 됐습니다.
그리고....IE6, 7에서 alt에 태체택스트 값을 넣었을 시 말풍선이 뜨기 때문에 다른 브라우저에서도 말풍선을 띄우기 위해
작업했던 title을 넣는 작업의 불필요성과 alt, title에 대한 토론을 하게 되었네요.
(어제 스터디를 통해 IE6, 7에서 이미지 대체텍스트 입력시 브라우저 자체내에서 말풍선을 띄우는 사실을 알게됐습니다.)
이미지 얘기를 하다 박성제님께서
"웹표준을 지키면 웹접근성을 지켰다고 말할 수 있으나 웹접근성을 지켰다고 웹표준을 지켰다고 말할 수 없다"
라는 말씀을 하였습니다. 이 얘기에 대해 좀 더 진지한 얘기가 오가고 했습니다.
그리고 대체텍스트인 alt, longdesc에 관한 내용을 얘기하다 다음주까지 longdesc, d-link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오기로 했습니다.
얘기를 하다 웹접근성 체크관리툴에 대한 얘기가 나와 어떤 관리툴이 있고 어떤 기능들을 하느냐에 대한 얘기를 하다가 제 생각에는
세번째 스터디 모임의 제일 중요한 내용이 나온거 같습니다. 이제 시작하는 저희들에게
무척 중요한 내용인
"단순히 웹접근성 심사를 통과하기 위해 웹표준, 웹접근성을 하지말고 좀 더 나은, 나아가 모든 웹환경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편리
한 웹환경을 만들기위한 웹표준, 웹접근성에 관해 알아야 한다"
..정확하게 말씀한 문구는 생각나지 않습니다만..아마 저런 뜻으로 말했던 거 같습니다.
또 이미지를 표현 할 때 지켜야 하는 방법들에 대해서 얘기들을 했습니다.
알고 있던 사실이었지만 계속 까먹고 잘 안하게 되는 부분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된거 같네요..
KWAG부산 세번째 모임은 대체적으로 이미지에 대한 얘기를 많이 했습니다. (저의 짧은 지식이...이렇게 될줄 ...몰랐습니
다...)
그러다 보니 저번주에 언급됐던 KWAG부산 이름에 대한 말도 못하게 됐네요..
빠진 내용이 있겟지만....기억을 다 못하는 관계로..;; 이만 줄이 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PS : 마무리 하다가 생각나서 적습니다.
PNG 이미지 사용법에 대해서 잠깐 언급을 했습니다.
그리고 웹표준은 기술적입장에서 봐야하고 웹접근성은 사용자입장에서 봐야한다는 얘기도 했습니다.
그럼 이만 물러나겠습니다...(_ _
바람에..글 작성을 완성하기전에...............)
마지막으로 img태그에 대한 토론입니다.
이미지 얘기를 하다 박성제님께서
그럼 이만 물러나겠습니다...(_ _
--
Google 그룹스 '한국 웹 접근성 그룹 (Korea Web Accessibility Group)' 그룹에 가입했으므로 본 메일이 전송되었습니다.
이 그룹에 게시하려면 kw...@googlegroups.com(으)로 이메일을 보내세요.
그룹에서 탈퇴하려면 kwag+uns...@googlegroups.com로 이메일을 보내주세요.
더 많은 옵션을 보려면 http://groups.google.com/group/kwag?hl=ko에서 그룹을 방문하세요.
바람에..글 작성을 완성하기전에...............)
마지막으로 img태그에 대한 토론입니다.
이미지 얘기를 하다 박성제님께서
그럼 이만 물러나겠습니다...(_ _
--------------------------------------------------
From: "khi" <angryv...@gmail.com>
Sent: Friday, August 13, 2010 12:50 PM
To: "�ѱ� �� ���ټ� �� (Korea Web Accessibility Group)"
<kw...@googlegroups.com>
Subject: [KWAG] [KWAG �λ�] ����° ���͵� �ı��Դϴ�.
> �ȳ��ϼ���. [KWAG �λ�] ���� �������Դϴ�.
>
> �������� �������� ���� �ı⸦ ���� �ۼ��ϰ� �dz�.(���....�� ��ǻ�Ͱ�
> ��������� ���� ��������
>
> �ٶ���..�� �ۼ��� �ϼ��ϱ���...............)
>
> �̹� �� ���͵���� �ο��� 6�� ����3 ����3������ �����Ͽ����ϴ�.
> ������ 7�� ������ �ð������ ������� ��� ��ұ����� �Ÿ��� �� �ǽô�
> �� ����
> ����� ����� ���Ͻô� �е鵵 ���ұ� ������ ���͵� �ð��� 8�÷�
> �����ؾ��Ѵٴ� �ǰ��� �־���ϴ�.
>
> �̹� �� ���͵� ������ ������� ������ ���, pre-formatted, img ������
> ����� �� ������,
>
> ���������� �� ���� �ߴٰ� �ؾ��ұ��? �� ��ǥ��, �����ټ��� �ϸ鼭
> �˸鼭�� �����ߴ� �κп� ���ؼ� �ٽ� �ѹ� ���ϴ� ��
> �Ⱑ �Ȱ� �����ϴ�.
>
> �켱 ���� �� ����̾�� "h1�� ������������ �ι�ᵵ �Ǵ°�?"�� ���ؼ�
> �ٽ��ѹ� ��⸦ �߽��ϴ�.
> �������� �ǰߵ��� �־����� ������ ���� �� �߿��� ������ ���������
> ���Ѵٸ� h1�� �ٽ� �� ���� �ִٶ�� �ǰ��� ��� �߽�
> �ϴ�.
>
> pre-formatted�±״� ǥ�� �±��̱�� �ϳ� �����ټ����� ����DZ� ������
> "�ҽ��ڵ�"���� ������ȭ�ڵ带 �ѷ��� �� �����
> �� �����ϴٶ�� �ǰߵ� ���Ա���...
>
> ���������� img�±� ���� ����Դϴ�.
>
> ��� �̹� �� ���͵뿡 ���ؼ� �غ��� �� �� ���������� img�±� ����
> �ñ��Ѱ� �־���ϴ�.
>
> ��..�ϴ� ���� �߸�� �������δ� �̹����� ���ؼ� ǥ���ϴ� ���� <input
> type="image" src="�ּ�"
> value="����"/>�� css�� background :url(..�ּ�)�� img �±��
> ���߽��ϴ�.
>
> �㳪 html ��ũ������ �̹����� �����ϴ� ���� img�±ۿ� ��ٶ�� �ٵ�
> �ƽô� ����� �������� ��ݰ� �ƽ��ϴ�.
>
> ����....IE6, 7���� alt�� ��ü�ý�Ʈ ���� �־��� �� ��dz���� �߱� ������
> �ٸ� �������� ��dz���� ���� ����
> �۾��ߴ� title�� �ִ� �۾��� ���ʿ伺�� alt, title�� ���� ����� �ϰ�
> �Ǿ��.
> (���� ���͵� ���� IE6, 7���� �̹��� ��ü�ؽ�Ʈ �Է½� ������
> ��ü������ ��dz���� ���� ����� �˰Եƽ��ϴ�.)
>
> �̹��� ��⸦ �ϴ� �ڼ����Բ���
>
> "��ǥ���� ��Ű�� �����ټ��� ���״ٰ� ���� �� ������ �����ټ��� ���״ٰ�
> ��ǥ���� ���״ٰ� ���� �� ���"
>
> ��� ������ �Ͽ����ϴ�. �� �� ���� �� �� ������ ��Ⱑ ������
> �߽��ϴ�.
>
> ���� ��ü�ؽ�Ʈ�� alt, longdesc�� ���� ������ ����ϴ� �����ֱ���
> longdesc, d-link�� �������� ���ؼ�
> �˾ƿ���� �߽��ϴ�.
>
> ��⸦ �ϴ� �����ټ� üũ���� ���� ��Ⱑ ���� � ������ �ְ� �
> ��ɵ��� �ϴ��Ŀ� ���� ��⸦ �ϴٰ� �� ���
> ����° ���͵� ������ ���� �߿��� ������ ���°� �����ϴ�. ���� �����ϴ�
> ����鿡��
> ��ô �߿��� ������
>
> "�ܼ��� �����ټ� �ɻ縦 ����ϱ� ���� ��ǥ��, �����ټ��� �������� �� ��
> ����, ���ư� ��� ��ȯ���� ����ϴ� ������� �?
> �� ��ȯ���� ��������� ��ǥ��, �����ټ��� ���� �˾ƾ� �Ѵ�"
>
> ..��Ȯ�ϰ� ������ ������ ���� �ʽ��ϴٸ�..�Ƹ� �� ������ ���ߴ� ��
> �����ϴ�.
>
> �� �̹����� ǥ�� �� �� ���Ѿ� �ϴ� ���鿡 ���ؼ� ������ �߽��ϴ�.
> �˰� �ִ� ����̾����� ��� ��� �� ���ϰ� �Ǵ� �κп� ���ؼ� �ٽ� �ѹ�
> ���� �� �ִ� ��ȸ�� �Ȱ� ����..
>
> KWAG�λ� ����° ������ ��ü������ �̹����� ���� ��⸦ ���� �߽��ϴ�.
> (���� ª�� ������...�̷��� ���� ...�������
> ��...)
>
> ���� ���� ����ֿ� ��ƴ� KWAG�λ� �̸��� ���� ���� ���ϰ� �Ƴ�..
> ���� ������ �ְ�����....����� �� ���ϴ� ����..;; �̸� ���� �ڽ��ϴ�.
>
> �� ���õ� ���� �Ϸ� �Ǽ���.
>
> PS : ������ �ϴٰ� ��� ����ϴ�.
>
> PNG �̹��� ���� ���ؼ� ��� ����� �߽��ϴ�.
> ���� ��ǥ���� ��������忡�� �����ϰ� �����ټ��� ��������忡��
> �����Ѵٴ� �� �߽��ϴ�.
>
>
> �� �̸� �������ڽ��ϴ�...(_ _
>
> --
> Google �콺 '�ѱ� �� ���ټ� �� (Korea Web Accessibility Group)' �쿡
> ���������Ƿ� �� ������ ��۵Ǿ���ϴ�.
> �� �쿡 �Խ��Ϸ��� kw...@googlegroups.com(��)�� �̸����� ��������.
> �쿡�� Ż���Ϸ��� kwag+uns...@googlegroups.com�� �̸�����
> �����ּ���.
> �� ���� �ɼ��� ������ http://groups.google.com/group/kwag?hl=ko���� ����
> �湮�ϼ���.
>
>
pre-formatted태그에 관해 토론 중에
웹페이지 하단부에 주소를 표시할 때 pre를 사용하여 작성을 하니 줄바꿈, 띄어쓰기 등 사용하기 편하였다. 하지만 주소작성에는
address라는 엄연한 태그가 존재하기 때문에 주소를 작성함에 있어 단지 띄어쓰기, 줄바꿈등이 편하다고 해서 pre를 쓰는것
은 잘못된 것이다라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pre는 소스코드 등을 뿌릴 때 사용하는 것이며 접근성에 위배되지 않는 표준코드라는 것도 알게 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