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eryDsl 많이 사용하나요?

985 views
Skip to first unread message

CooN I

unread,
May 27, 2013, 2:03:12 AM5/27/13
to ks...@googlegroups.com
안녕하세요.
매번 눈으로만 보다가 질문하나 올립니다.

Querydsl 이 참 매력적으로 보이는데 세팅이 쉽지 않네요.
궁금한것은 실무에서 많이들 사용하시나요?

JPA 로는 초간단 CRUD는 테스트 해보았구요.
이번에 Mongodb를 사용하게 될거 같아서 적용 해보려 하는데 자료가 별로 없는듯 해서요.

1. 많이 사용하나요?
2. 이클립스(juno) maven 설정 관련 쉽게 나온곳이 있을까요?
    -> 홈페이지에도 쉽게 나왔는데 왜 Generated가 안되는지. ㅋ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CooN I

unread,
May 27, 2013, 2:06:29 AM5/27/13
to ks...@googlegroups.com
혹시 몰라서 샘플 코드 첨부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2013년 5월 27일 월요일 오후 3시 3분 12초 UTC+9, CooN I 님의 말:
SpringMongoDBExample.zip

CooN I

unread,
May 27, 2013, 2:14:02 AM5/27/13
to ks...@googlegroups.com
죄송합니다.

코드는 생성 되었습니다. 
새로 고침이 안되어서.. 안보였다는것..

좀더 살펴 봤어야 하는데 _ _;;

많이들 사용하시나요?


2013년 5월 27일 월요일 오후 3시 3분 12초 UTC+9, CooN I 님의 말:
안녕하세요.

YoungHan Kim

unread,
May 27, 2013, 3:47:42 AM5/27/13
to ks...@googlegroups.com
저희팀에서는 사용합니다.


2013년 5월 27일 월요일 오후 3시 3분 12초 UTC+9, CooN I 님의 말:
안녕하세요.

Sungchul Park

unread,
May 27, 2013, 4:03:33 AM5/27/13
to ks...@googlegroups.com
저희 팀에서도 사용합니다.
개인적으로 컴퓨터가 이해할 문자열(SQL, HQL, JPQL 등)을 사람이 만드는 건 불합리한 일이라고 보고, 컴파일러의 오류 확인 기능의 이점을 누릴 수도 없어서 Criteria API를 선호하는 편인데 JPA의 Criteria API는 우주 최악의 API라서 QueryDSL을 JPA 개발자의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Criteria API를 대체할 방안을 찾으려고 고민했었는데 QueryDSL을 보고는 제 사고의 한계를 통탄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13. 5. 27. 오후 4:47, YoungHan Kim 쓴 글:
--
Google 그룹스 'Korea Spring User Group' 그룹에 가입했으므로 본 메일이 전송되었습니다.
이 그룹에서 탈퇴하고 더 이상 이메일을 받지 않으려면 ksug+uns...@googlegroups.com에 이메일을 보내세요.
http://groups.google.com /group/ksug?hl=ko-KR에서 그룹을 방문하세요.
더 많은 옵션을 보려면 https://groups.google.com /groups/opt_out을(를) 방문하세요.
 
 

Ki-Seok Kim

unread,
May 27, 2013, 4:18:00 AM5/27/13
to ks...@googlegroups.com
참 좋은 거네요. 

질문 하나 해도 될까요?

1. 연관 관계가 없는 테이블을 criteria api 로 join 해서 사용할 방법이 있을까요?( 현재는 native query 로 사용중)

hibernate 쓰고있구요.. 전혀 방법을 찾지못해 criteria를 못쓰고있습니다..

일부 테이블만 연관 관계가 없습니다.(연관 관계 설정은 사실상 불가능)


2013년 5월 27일 오후 5:03, Sungchul Park <gyu...@gmail.com>님의 말:

CooN I

unread,
May 27, 2013, 4:28:17 AM5/27/13
to ks...@googlegroups.com
저도 Criteria API 사용해보려다가 몬가 직관적이지 않아서 잘못하면 배보다 배꼽이 클수도 있는 상황이 올거 같아서 찾게 되었는데 대중성이 어느정도 인지 궁금했습니다. 

아마도 ORM하시는 분들은 아마도 필수로 사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마침 좋은 기회가 있어서 제대로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

감사합니다.


2013년 5월 27일 월요일 오후 3시 3분 12초 UTC+9, CooN I 님의 말:
안녕하세요.

Ahn Jisung

unread,
May 27, 2013, 4:39:54 AM5/27/13
to ks...@googlegroups.com
어플리케이션의 모델이 그다지 복잡하지 않다면
Spring Data JPA 의  Repository를 사용하는것도 좋습니다. 

또는 베이스는 Sptring Data CrudRepository를 사용하고, 복잡한 부분만 QueryDSL을 쓰는것도 좋을듯 합니다. 


2013. 5. 27., 오후 5:28, CooN I <ico...@gmail.com> 작성:

CooN I

unread,
May 27, 2013, 4:49:28 AM5/27/13
to ks...@googlegroups.com
네 전체 서비스 대상은 아니구요. 제가 간단한 통계관련을 진행해야 할거 같아서 추가 해봤어요.

아주 복잡한 통계가 아니라서 부담없이 사용해보려구요 ^^


2013년 5월 27일 월요일 오후 3시 3분 12초 UTC+9, CooN I 님의 말:
안녕하세요.

안용상

unread,
May 27, 2013, 5:42:48 AM5/27/13
to ks...@googlegroups.com
안녕하세요.
저도 Spring Data JPA를 공부해서 업무에 적용해 볼려고 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Spring jdbc나 mybatis 로 DAO를 주로 만드는데요.
저 또한 실무에서 얼마나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2013년 5월 27일 오후 5:49, CooN I <ico...@gmail.com>님의 말:

--

김지헌

unread,
May 27, 2013, 8:00:48 PM5/27/13
to ks...@googlegroups.com
저도 회사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Hibernate + Spring Data jpa + QueryDSL 을 적용했습니다.
일반적인 CRUD는 SpringData를 이용했고,
동적인 조회조건을 만들때 QueryDSL 이용했습니다.

이렇게 잘 사용해오다가...
ㅡ_-);; 2년 동안 쿼리를 멀리하고 살았는데,
다시 쿼리와 프로시져를 접해야되니 눈 앞이 캄캄해져 있습니다. Orz...


2013년 5월 27일 오후 6:42, 안용상 <ing486...@gmail.com>님의 말:



--
이름 : 김지헌
별명 : 허니몬
블로그 : http://ihoney.pe.kr
미투데이 : http://me2day.net/sunfuture
트위터 : @ihoneymon
이메일 : ihon...@gmail.com

Jihwan Kim

unread,
Jun 3, 2013, 9:02:01 PM6/3/13
to ks...@googlegroups.com
저희팀에서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Hibernate Criteria에서 JPA Criteria로 갈아탔는데, 원하는 만큼 안되는 것이 많고, 쿼리를 직접 문자열로 사용하는 문제(Code오류를 컴파일시에 발견하지 못함) 등으로 고민하던 중 QueryDSL을 접하고 나서 아주 잘 쓰고 있습니다. JPQL과 JPSQL을 적절하게 용도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QueryDSL 참 좋습니다.

2013년 5월 27일 오후 3:03, CooN I <ico...@gmail.com>님의 말:

--

하은재

unread,
Jun 3, 2013, 9:17:02 PM6/3/13
to ks...@googlegroups.com
네. 곳곳에서 사용중이시네요.

저는 mysql + mybatis 로 진행을 하고 있다가 mongoDB를 사용해야 해서 지금 Querydsl을 적용하여 기본 CRUD 형태를 만들어 봤는데.. 멋지네요.!!!

DynamicQuery 는 BooleanBuilder를 사용해서 만들어 봤구요.

아직 못해본건 집계관련 map/reduce, aggregation을 테스트 해보고 있어요.

map/reduce는 실제 코딩으로는 해보질 않아서 원하는 형태로 결과를 뽑는게 쉽지 않네요.

map/reduce 성능 관련해서 mongoDB에서 aggregation 선 보여서 사용해보려 했더니 아직은 사례들이 많지 않은지 자료가 별로 없어요.

좀더 기본을 공부해보고 만들어봐야 할거 같아요.



2013년 6월 4일 오전 10:02, Jihwan Kim <jhki...@gmail.com>님의 말:
Reply all
Reply to author
Forward
0 new mess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