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1 visa 연장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043 views
Skip to first unread message

Dong-gyu Kang

unread,
Aug 17, 2015, 12:09:18 PM8/17/15
to KNIST
 
안녕하세요.
 
Energy and Environment Division 에 있는 강동규입니다.
 
제가 NIST에 머문지 1년이 다 되어가네요.
 
제 비자를 확인해보니 만료일이 이번달 말이더군요.
 
다들 비자 발급은 어떻게 받아 연장하고 계신가요?
 
한국 들어가서 받아오는 방법만 있나요?
 
들어보니 케나다 시민권자는 국경 나갔다오면 국경에서 도장 새로 찍어준다고 하던데, 저희에게도 적용이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바쁘신 와중에 시간 내시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Yunsu Lee

unread,
Aug 17, 2015, 1:11:36 PM8/17/15
to kn...@googlegroups.com
안녕하세요 이윤수입니다.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말씀을 드리자면, 미국에 계속 머무르신다면 굳이 비자를 재발급 받으실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다른 나라에 다녀오실 일이 있다면, 재입국 전 반드시 비자를 새로 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이것도 예외가 있는데... 미국 인접국인 캐나다, 멕시코 등에 다녀올 경우는 따로 발급을 받으실 필요는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한 가지 문제는 운전면허를 갱신할 때 유효한 비자 스탬프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었다고는 하는데... 이것도 담당자가 누구냐에 따라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달라서... 아무튼 이런 경우를 제외한... 합법적인 체류 상에는 비자 스탬프 유무가 그렇게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비자 스탬프를 새로 받으려는 경우... 원칙적으로는 다른 나라 내 (예를 들어 캐나다) 미국 대사관에 가서 새로 비자를 발급받으면 된다고는 하는데... 무슨 이유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거부를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해서 가급적 본국(한국) 내 미국 대사관에서 재발급 받기를 강력하게 권장한다고 합니다. 제가 일기로 지금까지 딱 한 분...이 캐나다에 가셔서 J 비자를 새로 발급 받으셨습니다. 

정리하자면...
1) DS2019가 유효한 이상 미국 내에 합법적으로 계속 머무르는 것은 아무 문제 없음
2) 유효한 비자 스탬프를 요구하는 몇몇 행적적인 업무가 있을 수 있음
3) 미국을 벗어난 후 재 입국 시 반드시 재발급을 받아야 함 (몇몇 인접국 제외)
3) 비자를 재 발급 받을 경우 가급적이면 한국에 가서 받아오는 것인 좋음

혹시 제가 잘못 알고 있거나, 보충할 내용 아시는 분 계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이윤수 올림



--
You received this message because you are subscribed to the Google Groups "KNIST" group.
To unsubscribe from this group and stop receiving emails from it, send an email to knist+un...@googlegroups.com.
For more options, visit https://groups.google.com/d/optout.

Jae-Kark Choi

unread,
Aug 17, 2015, 2:06:00 PM8/17/15
to kn...@googlegroups.com
저의 '경험상' 이라는 전제하에 말씀드리겠습니다.

1. 운전 면허증 재 발급의 경우, 비자 스탬프가 없어도 무관합니다. 면허증 갱신시 필요한 서류가 기존 면허증, SSN, DS2019, 여권 등 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Utility bill 등 거주지 증명 서류도 가져갔었는데, 참고 안하더라구요;; 저와 와이프 모두 2년차 때에 비자 스탬프 갱신 없이 면허증 재발급 받는데 문제가 없었습니다.

2. 나이아가라 놀러 갔을 때, 스탬프 expired된 상태였지만, 별일 없이 다녀왔습니다.

3. J2 dependent ITIN 발급 신청서류 제출할 때에도, expired된 비자 스탬프로 받았습니다.

Kyoung-Whan Kim

unread,
Aug 17, 2015, 2:25:50 PM8/17/15
to kn...@googlegroups.com
안녕하세요 김경환입니다.

사소한 보충 몇가지만 하겠습니다.

- 캐나다 혹은 멕시코 (+@) 등의 국가에 방문 후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것은 1개 국가를 방문했을 경우만 해당된다고 들었습니다.
예를 들어서 멕시코에 갔다가 캐나다를 들러서 미국으로 돌아올 경우 원칙적으로 유효한 visa stamp가 필요합니다. 배로 여행을 하는 상품의 경우 본인도 모르게 여러 국가를 방문하게 되어 재입국이 막히는 경우가 있으니 의도적으로 무비자 입국을 이용하는 것은 약간 risky하다고 들었습니다.

- 제 경우는 올해 J2 ITIN을 발급받을 때, expired된 visa stamp 사본으로 reject되어 새로 visa stamp를 받아서 다시 보냈습니다. 담당자에 따라 다른 것 같습니다. 아직 J2분들의 ITIN을 발급받지 않으신 경우 가급적 visa stamp를 유효하게 유지하는 것이 깔끔하긴 합니다.

- ITIN과는 달리 운전면허는 비자 stamp자체가 필수 서류에 포함되어 있지는 않는 것 같아서 (체류 신분은 I-94와 DS2019로 확인) 비교적 안심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그래도 담당자가 달라면 어쩔수 없겠죠..

김경환 드림

2015년 8월 17일 오후 1:11, Yunsu Lee <gaz...@gmail.com>님이 작성:

Kil-Won Moon

unread,
Aug 17, 2015, 3:31:04 PM8/17/15
to kn...@googlegroups.com
I-94에 D/S 라 적혀있으면 아래 분들의 설명이 모두 적절합니다. 그러나, I-94에 D/S 대신 날짜가 적혀있다면 곧바로 OIAA 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Sent from my iPhone

Dong-gyu Kang

unread,
Aug 19, 2015, 1:13:07 PM8/19/15
to KNIST
 
이윤수 박사님, 최재각 박사님, 김경환 박사님, 문길원 박사님!
 
유익하고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강동규 올림
Reply all
Reply to author
Forward
0 new mess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