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컴퓨터에 있는 자료를 다른 컴퓨터와 항상 동기화 할 수있는 방법은?

959 views
Skip to first unread message

redrocki

unread,
Apr 27, 2009, 5:25:56 AM4/27/09
to K-Zotero
안녕하세요?

개인용 서지 프로그램을 검색해 보다가 이렇게 zotero 라는 좋은 프로그램을 알게되었습니다. 항상 자료를 어떻게 정리하는 것
이 옳을까라는 생각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깔아서 사용해 보았습니다만 그다지 좋은 것을 찾지 못했습니다. Onenote,
treedbnotes, jwfreenote 등 다양한 것을 사용해 보았지만 항상 자료의 일관성 있는 정리가 문제로 지적이 되었습
니다.

이에 zotero도 portable로 이용이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이동형으로 사용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자료들을 서로 동기화해서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다른 분들의 좋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Peter Bae

unread,
Apr 27, 2009, 4:03:11 PM4/27/09
to K-Zotero
안녕하세요.

조테로 1.5 버전의 싱크 기능을 이용하시면 여러 컴퓨터에서 같은 자료를 늘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동기화되는
것은 서지 정보 뿐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서지 정보에 연결해 둔 문서 파일이나 스냅샷을 만들면서 생긴 html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은 동기화 되지 않습니다. 적어도 아직까지는 그렇습니다. 물론 따로 파일 서버를 사용하실 경우는 이것이 가능하구요.

대신 한 가지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조테로의 서지 정보 파일 저장 공간을 USB 드라이버나 외장 하드로 지정해두고 사용하는 컴
퓨터마다 그렇게 지정을 바꾸면 언제나 동일한 자료로 여러 컴퓨터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서지 정보와 연결된 파일들
도 같이 저장이 됩니다. 그리고 1.0 이나 1.5 버전에 관계 없이 사용하실 수 있는 방법이지요.

조테로 원도우에 있는 여러 아이콘 중에서 회색의 기어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preference 라는 항목이 있습니다.(영문판
을 기준으로 설명드립니다.) preference 에 가셔서 "Advanced" 탭을 클릭하시면 가장 위에 "Storage
Location" 을 지정하실 수 있는 옵션이 있습니다. 그곳에서 파이어폭스 프로파일 디렉토리가 아니라 Custom 을 선택하
신 후 USB 나 외장 하드를 지정하십시오. 그리고 나서 OK 를 클릭하시고 빠져나오신 후 파이어 폭스를 다시 시작하시면 그
때부터 저장되는 조테로 관련 자료는 USB 나 외장 하드에 저장이 됩니다. 다른 컴퓨터에 가셔서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Storage Location"을 변경하시고 파이어폭스를 새로 시작하시면 USB 나 외장 하드에 있는 자료를 읽어 오지요.

이 외에도 portable firefox 를 USB 나 외장 하드에 설치하시고 그 위에 다시 조테로를 설치하셔서 사용하시는 분들
도 계십니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은 조테로 웹페이지의 아래 내용을 참고 하십시오.

http://www.zotero.org/support/zotero_portable_solutions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배 승일 드림

redrocki

unread,
Apr 27, 2009, 10:07:09 PM4/27/09
to K-Zotero
정말로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cryme

unread,
Apr 29, 2009, 5:09:55 PM4/29/09
to K-Zotero
저는 조테로 1.0때 싱크기능이 없어 데스크탑과 노트북에서 같이 사용하려고 여러 편법을 써봤는데요.
그 중 가장 괜찮은 놈이 둘 있는데, 둘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였습니다.

한 놈은 Windows Live Sync. 계정을 만들고 컴퓨터와 공유할 폴더를 지정해 놓으면, 지정된 컴퓨터가 웹에 접속되었
을 때
자동으로 화일들이 싱크됩니다.

장점은, 컴퓨터가 웹에 연결되면 자동으로 peer to peer방식으로 화일들이 공유되니 편합니다.
단점은, overwrite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싱크되는 폴더와 파일의 갯수에 제한이 있습니다. (몇 갠지 지금 기억이
가물가물)

제 조테로 화일 갯수가 그 제한을 일치감치 초과해서 지금은 이 방법을 쓰지는 않지만, 제가 Windows live sync를 쓰
던 때는 베타판이었고
(그때는 이름이 FolderShare였습죠), 베타일 때 화일 갯수제한이 50,000개였으니, 지금은 더 늘어난 것으로 알고 있
습니다.
(여기가 그 사이트 https://www.foldershare.com/)

두번째 방법이, 지금도 가끔, 아주 가끔 쓰는 방법인데, SyncToy2.0 입니다. 이는 MS에서 제공하는 싱크 소프트웨어인
데, 쓸만합니다.
자동싱크는 아니고, 컴퓨터의 폴더를 외부 저장장치와 수동으로 싱크시킵니다.
(아마 여기서 다운로드?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c26efa36-98e0-4ee9-a7c5-98d0592d8c52&displaylang=en)

귀찮긴 하다는 단점이 있는데, 그래도 큰 장점은, 안전성입니다. overwrite문제가 별로 없습니다. 수동으로 preview
를 한번 하고 나면,
새로 생성되는, 지우는, 그리고 덮어쓰는 화일들의 목록이 나오므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파일갯수제한 같은 것도 없고, 프로그램이 가볍습니다.


사실, 1.X때 여러 싱크 방법을 쓰다가 자료가 얽혀서 크게 데인 후로는 지금은 이를 잘 쓰지는 않지만, 이후에 1.5가 나와
서 싱크를 지원하네요.
그래도 관성때문이지 지금도 싱크를 쓰지 않습니다만, 차차 한번 써볼 생각입니다.

조테로가 워낙 강력한 툴이라 이것저것 스냅샷 하다보면 화일갯수 몇 만개는 아무것도 아니더군요.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어쨌거나, 그나저나, 아래에 스냅샷 질문 올렸는데, 아시는 분은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SyncToy2.0을 써서 storage를

Reply all
Reply to author
Forward
0 new mess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