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도서관에 zotero 검색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은?

183 views
Skip to first unread message

redrocki

unread,
May 6, 2009, 1:06:48 AM5/6/09
to K-Zotero
안녕하세요?

어떻게 하면 매일 쏟아지는 많은 양의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정리를 할 수 있을까라고 고민을 합니다.
현대인을 살아가는 사람치고 이렇게 고민을 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고 보내요.

저는 zotero가 국내에 아직 많이 보급되지 않는 것을 두가지로 봅니다.
1. 국내 웹브라우저 대부분이 active-x로 도배되어져 있는 explorer 인 점
2. 아직 많은 곳에서 서지정보는 제고 하지 않고 있다는 점
현재 국내 도서관의 서지 정보중에 zotero를 지원하는 도서관은 postech 한곳으로 저는 알고있습니다.
외국같은 곳은 아마존, 국회도서관 등 다양한 곳에서 쉽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현재까지는 또한 알고 있습니다.

이를 위한 해결방법으로

첫째. 국내 웹브라우저 사용보급에 대해서는 더디게 반 explore로 가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조금씩 자각해 가면서 표준 웹 규
정을 따라 가는 것으로 보고 있기에 일 순간에 브라우저를 늘리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둘째. 서지정보를 제공하는 많은 국내 도서관 사이트의 보급입니다.
아직 저는 이러한 정보에 문외한지라 서지정보 제공에 대한 표준이 있는 지는 모르겠습니다. 단지 국내에서 endnote 정보 제공
을 해 주는 곳에 zotero 지원 기능만 주어 진다면, 쉽고 간편하게 zotero 이용 인구가 많이 늘어 날수 있다고 생각합니
다. 국내 도서관에 zotero 서지정보를 제공을 활성화 할 수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Peter Bae

unread,
May 7, 2009, 9:44:02 PM5/7/09
to K-Zotero
안녕하세요.

중요한 문제를 지적해 주셔서 감사드리고 싶습니다. 이용자들이 같이 고민해 보아야 할 문제 중의 하나라 생각합니다.
포스텍의 도서관에서 조테로를 사용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그 곳에서 사용하는 목록 소프트웨서가 국내에서 개발된 것
이 아니라 미국에서 많이 사용되는 있는 회사의 제품이기 때문입니다. 조테로가 그 목록을 인식하는 것이 그 회사의 목록 소프트웨어
를 통해 웹상에서 표시되는 서지 정보가 표준을 따르기 때문인지 아니면 그 회사의 프로그램에 맞는 해석기가 있기 때문인지는 잘 모
르겠지만 아마 전자가 아닐까 싶습니다.

실제 서지 정보를 웹상에서 표시하는 방법에 적용되는 표준은 있습니다. 그 부분을 국내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도서관 목록 프로그
램에서 지원을 해 준다면 좋겠지만 때로는 파이어 폭스에서 검색조차 힘든 경우가 있으니 힘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대신
그 방법이 힘든 경우 국내 목록 시스템에 맞는 해석기를 별도로 개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최근 저도 국내 목록에 맞는 해석기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고민을 해보고 있습니다만 제 전공과는 거리가 있어 진도가 더디군요. 아래의 URL 을 찾아 보시면 이 부분
에 대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zotero.org/support/make%20your%20site%20zotero%20ready

배 승일 드림

빠떼루

unread,
May 8, 2009, 11:24:02 PM5/8/09
to K-Zotero
안녕하세요..

사실 저는 도서관 솔루션 개발업체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항상 도서관에 관심이 많구요..
RSS 보다가 그룹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도서관쪽에는 여러가지 표준들이 많이 있습니다.
서지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z39.50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국회도서관이나 국립중앙도서관도 서비스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시다 시피 endnote를 통해서 가져올 수 있습니다. 조테로에서는 그런 기능이 없는 것 같구요.

사실 우리나라 웹 개발을 하는 업체들은 대체로 국제 표준을 잘 준수하고 있지 않는 편입니다.(^^)
그러다보니 explorer에 종속적으로 돌아가는 기능들이 많이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active x 등)
도서관의 경우도 마찬가지고요. 특히, 복사기능도 막혀 있는 사이트도 꽤 있습니다.
그래서, 요즈음은 주관기관이 RFP 자체에 여러가지 브라우저를 지원하도록 항목을 명시하기도 합니다.

조테로를 지원하는 사이트가 적은 것도 그런 연유인것 같습니다.
포스텍 같은 경우는 배승일님이 말씀하셨듯이 외국제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도 저희가 개발한 사이트에서 조테로를 돌려봤는데, 인식하지 못하더라고요.(ㅎㅎ)

앞으로 표준 준수 문제를 많이 고민해봐야 겠습니다.


On 5월8일, 오전10시44분, Peter Bae <ciaoc...@gmail.com> wrote:
> 안녕하세요.
>
> 중요한 문제를 지적해 주셔서 감사드리고 싶습니다. 이용자들이 같이 고민해 보아야 할 문제 중의 하나라 생각합니다.
> 포스텍의 도서관에서 조테로를 사용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그 곳에서 사용하는 목록 소프트웨서가 국내에서 개발된 것
> 이 아니라 미국에서 많이 사용되는 있는 회사의 제품이기 때문입니다. 조테로가 그 목록을 인식하는 것이 그 회사의 목록 소프트웨어
> 를 통해 웹상에서 표시되는 서지 정보가 표준을 따르기 때문인지 아니면 그 회사의 프로그램에 맞는 해석기가 있기 때문인지는 잘 모
> 르겠지만 아마 전자가 아닐까 싶습니다.
>
> 실제 서지 정보를 웹상에서 표시하는 방법에 적용되는 표준은 있습니다. 그 부분을 국내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도서관 목록 프로그
> 램에서 지원을 해 준다면 좋겠지만 때로는 파이어 폭스에서 검색조차 힘든 경우가 있으니 힘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대신
> 그 방법이 힘든 경우 국내 목록 시스템에 맞는 해석기를 별도로 개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최근 저도 국내 목록에 맞는 해석기를
> 만드는 방법에 대해 고민을 해보고 있습니다만 제 전공과는 거리가 있어 진도가 더디군요. 아래의 URL 을 찾아 보시면 이 부분

> 에 대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www.zotero.org/support/make%20your%20site%20zotero%20ready

만폭동

unread,
Jun 23, 2009, 10:34:43 PM6/23/09
to K-Zotero
알고 계신지는 모르겠지만 오늘 보니 구글도서검색에서도 조테로가 가능한 것 같습니다.
다른 외국계 포탈의 도서검색에서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네요..
Reply all
Reply to author
Forward
0 new mess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