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oogle 그룹스 'jaylang' 그룹에 가입했으므로 본 메일이 전송되었습니다.
이 그룹에 게시하려면 jay...@googlegroups.com(으)로 이메일을 보내세요.
그룹에서 탈퇴하려면 jaylang+u...@googlegroups.com로 이메일을 보내주세요.
더 많은 옵션을 보려면 http://groups.google.com/group/jaylang?hl=ko에서 그룹을 방문하세요.
모임에서 배웠던 「앙케이트 기수별 응답률 구하기와 재촉 이메일 보내기」를 다시 복습해봤습니다. NB. 기수별 reply하지 않은 멤버들 % 각 기수별 멤버수 (#/.~ 0&{"1 notyetm#all) % #/.~ 0&{"1 all 위 식에서 한 기수에서 모두 회답하였을 경우에는 % 앞의 리스트의 갯수가 줄어들어서 연산에 오류가 생깁니다. 어떻게 보정을 하면 될까요?
list_a f list_b 에서 list_b의 원소가 list_a에 몇번 나오는지 세어주는 동사 (f)가 있어서 #/.~ 0&{"1 notyetm#all 대신에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모임에서 배웠던 「앙케이트 기수별 응답률 구하기와 재촉 이메일 보내기」를 다시 복습해봤습니다.
NB. 기수별 reply하지 않은 멤버들 % 각 기수별 멤버수
(#/.~ 0&{"1 notyetm#all) % #/.~ 0&{"1 all
위 식에서 한 기수에서 모두 회답하였을 경우에는 % 앞의 리스트의 갯수가 줄어들어서 연산에 오류가 생깁니다.
어떻게 보정을 하면 될까요?
list_a f list_b 에서 list_b의 원소가 list_a에 몇번 나오는지 세어주는 동사 (f)가 있어서
#/.~ 0&{"1 notyetm#all 대신에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Google 그룹스 'jaylang' 그룹에 가입했으므로 본 메일이 전송되었습니다.
웹에서 이 토론을 보려면 https://groups.google.com/d/msg/jaylang/-/FIubdVzzQ1gJ을(를) 방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