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전에 박진희 선생님을 뵈러 동국대에 들렀다가 플래카드를 보고 알게된 학술대회입니다.
이번이 3회이고, 지난 학술대회의 원고들은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에서 발행하는 _한국문학연구_에 더러 실리기로 했습니다 .
* * *
2013년 상반기에 실린 논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5. “나는 살아 있는 것을 연구한다” : 파브르『곤충기』의 근대 초기 동아시아 수용과 근대 지식의 형성
김성연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한국문학연구 44, 2013.6, 139-177 (39 pages)
6. 재생산 없는 ‘고향’의 유토피아
손유경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한국문학연구 44, 2013.6, 179-208 (30 pages)
* * *
아래 프로그램을 보니 재미있어 보이는 발표도 더러 있고, 몇 가지는 어떤 얘기가 가능할 지, 가늠이 안되는 것들도 있네요.
제3회 <한국 근대문학과 과학> 학술회의
근대에 들어 과학기술에 대한 지지는 전지구적인 현상이 되었습니다. 19세기말, 20세기초 이래 한국에서도 과학은 조선 오백년의 유학을 대체하며 학문과 교육의 중심 영역을 차지했습니다. 과학은 한국인이 서양에서 발견한 우월한 힘의 근원이었으며, 과학의 보급은 한국인이 추구한 새로운 문명의 핵심이었습니다. 한국 근대문화의 주류는 과학적 지식에 기반한 진보의 모색과 함께 형성되었으며 그러한 가운데 과학주의라고 부를 만한 경향이 한국사회의 전역에 걸쳐 정착되었습니다. 과학기술에 대한 대응 양상은 한국 근대문학사․사상사․학술사․문화사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진전시키는 데에 불가결한 주제입니다.
이번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주최 학술회의는 한국근대문학을 중심으로 한국 근대문화에 나타난 과학기술의 양상과 의미를 검토하려는 시도입니다. <한국 근대문학과 과학의 관련 양상>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이기도 한 이 학술회의는 당해 주제에 관한 전례 없는 규모의 발표와 토론의 자리이기도 합니다. 이 회의가 한국 근대문학사연구와 과학사연구 양쪽 모두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합니다.
▣ 일시 : 2014년 1월 24일(금)-25일(토) 양일간
▣ 시간 : 오전 10시~오후 6시
▣ 장소 : 동국대학교 만해관 모의법정
▣ 주최 :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 후원 : 한국연구재단
▲ 제1일차 2014년 1월 24일(금)
사회_조형래(명지대)
13:00~13:20 개회식 및 인사
13:20~14:00 김행숙(강남대)∥이상 시와 건축
토론_신형철(서울대)
14:00~14:40 김예림(연세대)∥철과 탄(炭)의 장면
토론_정종현(성균관대)
14:40~14:50 휴식
14:50~15:30 이수형(명지대)∥이상 문학과 대도시의 정신생활
토론_김백영(광운대)
15:30~16:10 허병식(동국대)∥식민지 조선의 임상의학과 문학
토론_신규환(연세대)
16:10~16:50 서희원(동국대)∥식민지의 병리학 혹은 ‘만세전(1918년)’ 인플루엔자의 재앙
토론_이학영(서울대)
16:50~17:00 휴식
17:00~18:00 종합토론
좌장_한만수(동국대), 한수영(연세대)
========================================================================================
▲ 제2일차 2014년 1월 25일(토)
사회_김윤경(동국대)
10:30~11:00 개회식 및 인사
11:00~11:40 이철호(동국대)∥<개벽>과 과학
토론_허수(한림대)
11:40~12:20 구인모(연세대)∥사교(邪敎) 대(對) 과학 그리고 남은 문학
- 백백교(白白敎) 사건을 둘러싼 내러티브 실천들
토론_손유경(서울대)
12:20~13:30 중식
사회_오태영(동국대)
13:30~14:10 공임순(서강대)∥냉전의 육화, 신체-기계로서의 스파이 형상과 서사화
토론_장세진(한림대)
14:10~14:50 강계숙(연세대)∥전후 모더니즘 시와 과학 기술
토론_김춘식(동국대)
14:50~15:00 휴식
15:00~15:40 한민주(홍익대)∥일제 말기 인구학, 유령인구들, 국민의 상상
토론_이혜령(성균관대)
15:40~16:20 윤대석(서울대)∥경성제국대학-서울대학교 학제와 과학
토론_정준영(한림대)
16:20~16:30 휴식
16:30~17:30 종합토론
좌장_박광현(동국대), 천정환(성균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