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올해 학술대회도 시작인가 봅니다.
4월 19-20일 (토-일)에 전남대학교에서 과학사학회 학술대회가 있습니다. 토요일에는 4개의 세션을 진행하고 일요일에는 과학관으로 옮겨서 행사를 하네요.
눈에 띄는 건 전남대 김성근 교수님의 "나의 연구청사진"이라는 발표와 상당히 기술사 스러운 첫번째 세션이네요.
저는 가기 어려울 것같은데, 관심있는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김병윤 드림
* * *
안녕하세요.
한국과학사학회 춘계학술대회 프로그램을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2014년 봄 과학사학회 프로그램>>
4월 19일 토요일 (장소: 전남대학교 진리관 201호, 202호)
12:30-13:00 접수
13:00-13:20 개회사
13:20-15:00 세션 (1), (2)
(1) 문화정체성 담론과 과학기술
사회: 김태호(서울대병원)
김태호(서울대병원), “한글 기계화의 ‘올바른’ 길: 표준 자판 제정을 둘러싼 논쟁”
박동오(Indiana University), “공인인증서 기술의 사회적 구성”
안형준(Georgia Tech), “항공우주기술의 ‘한국적’ 발전”
토론: 최형섭(서울대)
(2) 조선 후기의 과학연구와 과학문헌 편찬
사회: 박권수(충남대)
경석현(국립고궁박물관), "17세기 <재이고> 편찬의 정치학"
구만옥(경희대), "서유본의 학문관과 과학담론"
박권수(충북대), "조선의 역서를 만든 사람들, 관상감 중인 과학자"
토론: 임종태(서울대)
15:00-15:40 학생 포스터 세션 (장소: 진리관 로비)
15:40-17:20 세션 (3), (4)
(3) 생물학, 역사, 문화
사회: 정연보(한양대)
박형욱(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Singapre), “조직배양과 실패의 재구성”
한기원(한국해양수산개발원), “Biology of the Sea: William Emerson Ritter's Program of Marine Biology”
문만용(한국과학기술원), “왕벚나무의 기원과 한국의 벚꽃놀이”
토론: 김상현(한양대)
(4) 과학사와 문화사
사회: 이은경(전북대)
박민아(한국과학기술원), “한국의 신과학”
남영(한양대), “기술자의 정체성이 기술변화에 대한 대응 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 온라인게임의 사례”
김재영(한국과학영재학교), “쉬모니 카로이의 '물리학의 문화사'와 헝가리에서의 두 문화의 극복”
토론: 이관수(동국대)
17:20-17:40 나의 연구 청사진: 김성근(전남대)
17:40-18:00 포스터세션 우수 발표자 표창
18:00-18:30 총회
4월 20일 일요일 (장소: 국립광주과학관 2층 제2강의실)
한국과학사학회 봄 학술대회 특별세션: 과학관, 과학전시, 그리고 과학사
09:30-09:45 축사: 최은철(국립광주과학관 관장)
09:45-11:45 조숙경(국립광주과학관 전시연구본부장), “국립광주과학관 현황 및 운영방향 소개”
홍성욱(서울대), “과학관을 위한 과학과 예술의 만남”
전치형, 김윤후, 신유정(한국과학기술원), “과학기술사물과 과학기술사”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 관장), “과학관의 동력은 사람이다”
11:45-12:30 폐회식 및 국립광주과학관 관람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