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바른고딕에 대하여

400 views
Skip to first unread message

Changwoo Ryu

unread,
Oct 6, 2013, 1:12:13 PM10/6/13
to GNOME Korea, debian-l10n-korean
최근 NHN에서 나눔바른고딕을 릴리스했습니다.

http://hangeul.naver.com/

"모바일에서 잘 보이는" 글꼴로 광고를 하는데, 리눅스 데스크톱 사용에 관련해서 검토해
보았습니다.

글꼴 정보를 보니 나눔고딕처럼 디자인 회사가 산돌이라고 생각했었지만 의외로 폰트릭스에서
만들었습니다.


## 글리프 구성

나눔고딕과 비슷합니다. 영문자, 유럽문자 일부, 한글 음절 11172자, 한글 호환자모,
KS1001에 들어 있는 한자, 일본어 히라가나/가타가나, 그리스 문자, 키릴 문자, 일부
심볼.

한글 음절은 11172자가 모두 들어 있지만 다른 나눔 글꼴과 마찬가지로 2560자만 글리프가
별도로 수정되어 있고 나머지는 자모 글리프로 조합하게 되어 있습니다. U+1100의 한글자모
영역이 비어 있다는 건 나눔글꼴 3.020의 나눔고딕과 비교하면 후퇴한 점입니다.

## 힌팅

다른 나눔 글꼴과 마찬가지로 2560자에만 힌팅이 들어 있습니다. 글꼴 디자인 회사가
지나치게 노동 집약적인 작업을 하는 오랜 관행이자 오해인 것 같은데 한 번 더 말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이른바 "클리어타입 글꼴"이 그렇듯이 이 글꼴의 힌팅 인스트럭션은 세로 좌표만
픽셀 경계로 조정합니다. 이런 테크닉은 LCD 픽셀의 컬러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 방향은 서브픽셀렌더링에 맡기고 세로만 조정하면 된다는 생각에서 나왔습니다.
하지만 진짜 모바일 환경이라면 LCD 화면 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항상 컬러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이 가정이 맞지 않습니다. 진짜 모바일용 글꼴이라면 데스크톱보다 월등한
해상도를 가진 모바일 화면에 맞게 힌팅을 최소화하는 편이 더 나을 것입니다.

## 굵기, 모양

나눔고딕과 비교해 두껍습니다. 다른 나눔글꼴처럼 ExtraBold가 없는 게 아쉬운가 했지만
Bold 글꼴의 두꺼움을 보니 더 이상 두꺼운 건 존재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들게 전체적으로
두껍습니다. 모바일에 적합하게 두께와 자간을 연구했다는 결과가 굵은 글씨로 나왔을까요.

사실 힌팅 때문에 저해상도 화면에서는 간격이 원하는대로 잘 맞지는 않을 겁니다.
나눔바른고딕을 가지고 72dpi 18pt, 24pt 정도만 실험을 해 보니 http://hangeul.naver.com
페이지에 보이는 "른" 글자의 세로 간격도 간격이 달라집니다.


## 모바일용?

전체적으로 볼 때 오래전부터 당연하게 써 온 고딕 글꼴인 것 뿐인데 그걸 가지고 모바일에서
좋아졌다고 마케팅할 만한 이유가 있을까요. 단지 기존의 나눔고딕과 비교해서 단순해졌기
때문에?

오히려 데스크톱의 문서 글꼴로는 나눔고딕보다 더 적합하다는 생각입니다. 리눅스에서
문서에 나눔고딕을 쓸 때 둥글둥글한 글자가 문서에 적합하지 않을 때가 많았는데 해결 방안을
제시해 준 것 같습니다.


# 결론

* 나눔바른고딕은 기존 나눔글꼴 시리즈의 구성과 비슷한 일반적인 고딕 글꼴이다.

* 나눔바른고딕이 리눅스 데스크톱의 기본 문서 글꼴로 적합해 보인다.

Changwoo Ryu

unread,
Oct 8, 2013, 3:34:33 PM10/8/13
to Jinkyu Yi, GNOME Korea, debian-l10n-korean
라이선스는 아마도 그냥 누락됐을 것 같군요. 직접 물어보실래요? 고객센터가 엉뚱한 소리 하지 않고 포워딩하도록 잘 물어봐야 하는데요..

저번에도 추가 릴리스한 글꼴이 빠져 있길래 물어봤더니 OFL 맞다고 하면서 추가했었습니다.


저는 그냥 wine으로 exe 실행 설치해서 복사해 왔습니다. 이건 말해도 고쳐지지 않는 부분인데 짜증스럽지요..



2013년 10월 9일 오전 3:32, Jinkyu Yi <jincr...@jincreator.net>님의 말:
> 나눔바른고딕을 릴리스하면서 zip 파일 링크와 저작권 안내가 모두 사이트에서 사라졌네요.
> 나눔바른고딕도 SIL OFL 아래 나눠지고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증거 같은 게 있을까요?
>
> 네이버 고객센터의 라이선스 안내 주소입니다.
> http://help.naver.com/ops/step2/faq.nhn?faqId=15879
> 보시면...
>
> --------------------------------------------------------------------------------
>
> Copyright (c) 2010, NAVER Corporation (http://www.nhncorp.com),
>
> with Reserved Font Name Nanum, Naver Nanum, NanumGothic, Naver NanumGothic,
> NanumMyeongjo, Naver NanumMyeongjo, NanumBrush, Naver NanumBrush, NanumPen,
> Naver NanumPen, Naver NanumGothicEco, NanumGothicEco, Naver
> NanumMyeongjoEco, NanumMyeongjoEco, Naver NanumGothicLight, NanumGothicLight
>
> This Font Software is licensed under the SIL Open Font License, Version 1.1.
>
> This license is copied below, and is also available with a FAQ at:
> http://scripts.sil.org/OFL
>
> SIL OPEN FONT LICENSE
>
> Version 1.1 - 26 February 2007
>
>
>
> ‘나눔, 네이버 나눔, 나눔고딕, 네이버 나눔고딕, 나눔명조, 네이버 나눔명조, 나눔손글씨, 네이버 나눔손글씨, 나눔펜, 네이버 나눔펜,
> 네이버 나눔고딕에코, 나눔고딕에코, 네이버 나눔명조에코, 나눔명조에코, 네이버 나눔고딕라이트, 나눔고딕라이트’ 폰트명에 대해 NAVER
> (http://www.nhncorp.com) 이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
> 본 폰트 소프트웨어는 SIL 오픈 폰트 라이선스 버전 1.1에 따라 라이선스 취득을 하였습니다.
>
> 본 라이선스는 하단에 복사되었고 http://scripts.sil.org/OFL의 FAQ란 에서도 열람가능 합니다.
>
>
>
> SIL 오픈 폰트 라이선스
>
> 버전 1.1 (2007년 2월 26일)
>
> --------------------------------------------------------------------------------
>
> 나눔바른고딕이 대상 글꼴에 없습니다.
> 아직 고치지를 않은건지 실제로 여러 이유로(디자인 회사가 바뀌어서?) SIL OFL을 걸지 못하는 건지는 잘 모르겠네요.
> 다만 나눔고딕 뒤로 나온 에코나 라이트, 손글씨까지 매년 꾸준히 넣어준 걸 생각하면 이상하군요.
> 혹시나 해서 Windows용 exe 파일을 돌려보았는데 글꼴이 다 깔릴 때까지 저작권 안내도 없네요.
>
> p.s 리눅스에서 zip이나 dmg의 파일을 꺼낼 방법이 있을까요?
> 그리고 방법이 딱히 없는 경우 다른 배포판 메인테이너에게 출처를 설명할 때 문제가 될 소지는 없는지요.

Jinkyu Yi

unread,
Oct 8, 2013, 2:32:06 PM10/8/13
to Changwoo Ryu, GNOME Korea, debian-l10n-korean

Jinkyu Yi

unread,
Oct 10, 2013, 3:21:02 AM10/10/13
to Changwoo Ryu, GNOME Korea, debian-l10n-korean
고객센터에 문의를 넣기는 했는데 글을 잘 썼는지에 대해서는 자신이 없군요.
답변 기다리고 있습니다.
라이선스와 수동 설치 링크가 빠진 것 둘 다 문의를 넣었습니다.

ttf-mscorefonts-installer 가 생각나 cabextract로 exe 파일을 푸니 글꼴 파
일은 나오네요.

RYU Changwoo

unread,
Oct 10, 2013, 8:37:47 AM10/10/13
to Jinkyu Yi, GNOME Korea, debian-l10n-korean
오래 걸려도 상관없으니 담당자에게 전달해 달라고 단단히 말하면 됩니다.

안 그러면 아마 컴맹 취급하면서 폰트 설치하는 방법 가르쳐 주려고 할 겁니다..



2013년 10월 10일 오후 4:21, Jinkyu Yi <jincr...@jincreator.net>님의 말:

ChangSeok Oh

unread,
Oct 10, 2013, 11:09:59 AM10/10/13
to gnom...@googlegroups.com
안 그러면 아마 컴맹 취급하면서 폰트 설치하는 방법 가르쳐 주려고 할 겁니다..
ㅋㅋㅋ 이부분 너무 공감되네요. 
이건 마치 카드사에 전화걸어서 왜 내 Mac에서 간편결제가 안되냐고 물어봤을 때의 경험을 떠올리게 하네요 ㅋㅋㅋ

ChangSeok Oh


2013년 10월 10일 오후 9:37, RYU Changwoo <cw...@debian.org>님의 말:

--
Google 그룹스 '그놈 한국' 그룹에 가입했으므로 본 메일이 전송되었습니다.
이 그룹에서 탈퇴하고 더 이상 이메일을 받지 않으려면 gnome-kr+u...@googlegroups.com에 이메일을 보내세요.
더 많은 옵션을 보려면 https://groups.google.com/groups/opt_out을(를) 방문하세요.

Jihui Choi

unread,
Oct 10, 2013, 11:29:16 PM10/10/13
to gnom...@googlegroups.com
단순 라이센스 문의에는 다음과 같이 답변이 왔습니다.
이제 라이센스 포함에 대한 문의를 다시 넣어야 할 것 같네요.
(원래 원 질문에 포함되어 있는데 이 부분은 답변을 안해줘서..)

---------------------------------------------------------------------------------------------
고객님께서 문의해주신 나눔 글꼴에 대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이번 나눔바른글꼴을 소개하며 개편된 페이지에는
저작권 관련 내용이 누락되었는데요,
 
이로 인해 불편함을 드린점 사과드립니다.

나눔바른글꼴 역시 기존의 나눔글꼴과 마찬가지로 
글꼴 자체를 판매하는 행위(유료 웹폰트 호스팅 포함)만을 금하고 있으며, 
개인 및 기업 사용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되며 자유롭게 수정하고 재배포하실 수 있습니다. 

나눔글꼴에 대한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
Regards,
Jihui Choi


2013/10/11 ChangSeok Oh <shiva...@gmail.com>

Seong-ho Cho

unread,
Oct 11, 2013, 2:41:57 AM10/11/13
to gnom...@googlegroups.com
내부적으로 라이선스 교육을 한번 한듯 하군요. 예상외(?)의 만족스런 답변이 들어온걸 보면요.
이제 내부 담당자에게 요청 내용(패키지에 라이선스 본문, 인용포함)이 잘 전달이 되었는가 확인하면 될듯 합니다.



2013년 10월 11일 오후 12:29, Jihui Choi <jihui...@gmail.com>님의 말:



--
Seong-ho, Cho

Korean translator of the GNOME Korea.
GNOME Asia Summit 2013 Local Organizer.
XFCE Korean Translation Team Coordinator.
Transifex Korean Translation Team Coordinator.
LXDE Korean Translation Team Coordinator.
Audacity Korean Translation Team Coordinator.
FreeDesktop.org Korean Translator.
Enlightenment Korean Translator.
Poedit Korean Translator.
Audacious Korean Translator.




Soonson Kwon

unread,
Oct 11, 2013, 5:57:32 AM10/11/13
to gnom...@googlegroups.com
다른 경로로 입수한 정보인데
다음주 중에 OFL로 라이센스를 좀더 명시적으로
표시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물론 원래도 OFL이었구요.

참고하세요...


2013년 10월 11일 오후 3:41, Seong-ho Cho <darkcir...@gmail.com>님의 말:

RYU Changwoo

unread,
Oct 18, 2013, 12:43:06 AM10/18/13
to Jinkyu Yi, GNOME Korea, debian-l10n-korean
http://help.naver.com/ops/step2/faq.nhn?faqId=15879

추가됐네요.

연도는 2010에서 안 바꿨네요.


Changwoo Ryu

unread,
Dec 28, 2013, 8:18:21 PM12/28/13
to GNOME Korea, debian-l10n-korean
데비안의 경우 "unstable"에 fonts-nanum 20131007-1 패키지로 업데이트되어
있습니다.

http://packages.debian.org/fonts-nanum

나눔바른고딕이 추가된 것 외에 다른 폰트는 그대로이고 업데이트될 일은 없
을 것 같습니다.


막상 설치해서 보니 나눔바른고딕이 화면용으로는 문제점이 많이 드러나네요.
힌팅의 버그 같은데 글씨 크기에 따라 획 사이 간격이 들쭉날쭉합니다.



Reply all
Reply to author
Forward
0 new mess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