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wd: Questions (about CJK input) on GNOME 3.6 live image

275 views
Skip to first unread message

Joone Hur

unread,
Oct 6, 2012, 6:09:38 PM10/6/12
to 그놈 한국
안녕하세요.

앞으로 나올 gnome shell에 IME가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는데,
아직까지 많은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다행히 ibus-hangul committer인 Xiaojun이 한글 입력기 테스트도 하고 patch도 만들어주었는데,
우리도 테스트를 해야할 것 같습니다.

관심있는 분은 GNOME 3.6 live image를 테스트해보시기 바랍니다.

허준회 드림.

---------- Forwarded message ----------
From: Ma Xiaojun <damag...@gmail.com>
Date: Sun, Oct 7, 2012 at 3:33 AM
Subject: Questions (about CJK input) on GNOME 3.6 live image
To: desktop-d...@gnome.org


The live image is downloaded from:
http://ftp.gnome.org/pub/gnome/misc/promo-usb/GNOME-3.6.0.iso

Firstly, according to "rpm -qa | grep ibus" and Input Sources tab,
there is no Chinese input sources but there is Japanese (ibus-anthy)
and Korean (ibus-hangul) input sources. Why is that?

Secondly, Both Anthy and Hangul has setup UI. However, in the Input
Sources tab, only Hangul's setup UI is accessible.
You can access Anthy's setup UI through the following command, though.
python /usr/share/ibus-anthy/setup/main.py

( ibus-hangul's setup UI's application launcher is esoteric. I've made
a pull request. https://github.com/choehwanjin/ibus-hangul/pull/10 )

Thirdly, there is no input source switching shortcut by default. Even
if I manually set Ctrl+Space and Shift+Ctrl+Space, there is no OSD
when switching. I'm expecting something like this:
http://desktopi18n.wordpress.com/2012/02/16/ibus-new-controlspace-window/

Fourthly, can I set input sources to be application-wide rather than
global? It is a feature found in both IBus 1.4 and Mac OS X. A obvious
reason on Linux is that I don't want to use CJK input when I'm using
Terminal. Why should I have to manually switching to "en" every time?

Fifthly, can you remove the application launch for im-chooser? It
maybe useful for non-IBus users. However, currently it is just broken
and confuses uninformed user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esktop-devel-list mailing list
desktop-d...@gnome.org
https://mail.gnome.org/mailman/listinfo/desktop-devel-list


--
--------------------------------
http://opensoftware.kr
http://joone4u.blogspot.com
May the F/OSS be with you :-)

Young-Ho Cha

unread,
Oct 6, 2012, 9:08:17 PM10/6/12
to gnom...@googlegroups.com
현재 문제점은 기존의 한국어 사용자가 쓰던 한글토글 버튼이 동작안한다는 것입니다.

일단 현재 상황을 정리하자면...

1. 일단 윈도의 한글입력기에서 지원하는 한영토글키는 키보드드라이버에 따라서 한영키, shift+space, 오른쪽 Alt
이렇게 3개가 지원됩니다.
2. 그리고 윈도의 입력기 전환(ime엔진이 바뀝니다.)키는 shift+alt, 맥에서의 입력기 전환키는 cmd+space인걸로 알고 있고요.
3. ibus의 입력 전환동작은 1보다는 2에 가깝습니다만, 기존 사용자가 적응하기에는 1번키를 그대로 쓰는게 좋을겁니다.
4. gnome-settings-daemon에 ibus지원을 켜두고 빌드하면 기존의 ibus에서 설정한 입력기 전환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gnome-control-center에 설정한 키조합으로 입력기 전환이 동작합니다.
5. gnome-control-center에 키조합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http://pastebin.com/fPd44jia 패치를 반영하면 shift+space 조합은 가능합니다.
Hangul키는 여기서 풀어도 토글이 안됩니다. 쫓아가보다가 귀찮아서 포기;;;

6. 그리고 다른 문제점은 토글키를 누르고 약간의 딜레이가 있어야 언어변경이 동작합니다.

빠르게 입력하다보면 언어변경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현재 end-user에게 크게 영향을 끼칠 부분은 입력토글 키조합이 기존에 사용하던 것을 못쓰는 것과, 빠르게 입력할 때
토글이 안된다는 점입니다.

2012/10/7 Joone Hur <joon...@gmail.com>:

> --
> 이 메일은 "gnome-kr" 구글 그룹에 가입하신 모든 분이 받는 메일입니다. 메일을 받고
> 싶지 않으시면 gnome-kr+u...@googlegroups.com 주소로 메일을 보내시면
> 그룹에서 탈퇴됩니다.
>
> 메일로 이 그룹에 글을 쓰려면 gnom...@googlegroups.com 주소로 메일을 보내세요.
> (이 주소로 탈퇴 요청을 보내지 마세요!)
>
> 다음 페이지에서 그룹 옵션을 바꿀 수 있습니다.
> http://groups.google.com/group/gnome-kr

Changwoo Ryu

unread,
Feb 12, 2013, 9:00:09 PM2/12/13
to gnom...@googlegroups.com
하나 하나씩 풀어보지요. 일단 gnome-cc에서 일부러 막혀 있는 부분을
풀어 봅니다. 테스트는 아직 안 됐습니다. 여유 있는 분 있으면
실험을...

본래 코드의 목적은 일반적인 문자 입력에 사용하는 알파벳이나
스페이스 등 키를 단축키로 쓰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diff --git a/panels/keyboard/keyboard-shortcuts.c
b/panels/keyboard/keyboard-shortcuts.c
index 2ce0afe..5d5ca6e 100644
--- a/panels/keyboard/keyboard-shortcuts.c
+++ b/panels/keyboard/keyboard-shortcuts.c
@@ -1114,7 +1114,6 @@ static const guint forbidden_keyvals[] = {
GDK_KEY_KP_Enter,
GDK_KEY_Return,

- GDK_KEY_space,
GDK_KEY_Mode_switch
};

@@ -1257,9 +1256,10 @@ accel_edited_callback (GtkCellRendererText *cell,
|| (keyval >= GDK_KEY_Greek_ALPHAaccent && keyval <=
GDK_KEY_Greek_omega)
|| (keyval >= GDK_KEY_hebrew_doublelowline && keyval <=
GDK_KEY_hebrew_taf)
|| (keyval >= GDK_KEY_Thai_kokai && keyval <= GDK_KEY_Thai_lekkao)
- || (keyval >= GDK_KEY_Hangul && keyval <= GDK_KEY_Hangul_Special)
|| (keyval >= GDK_KEY_Hangul_Kiyeog && keyval <=
GDK_KEY_Hangul_J_YeorinHieuh)
- || keyval_is_forbidden (keyval)) {
+ || (keyval == GDK_KEY_space && mask == 0)
+ || (keyval_is_forbidden (keyval))) {
+
GtkWidget *dialog;
char *name;

Changwoo Ryu

unread,
Feb 12, 2013, 10:14:38 PM2/12/13
to gnom...@googlegroups.com
관련 이슈를 상구님이 이미 올리셨더군요. 여기에 패치 올렸습니다.

https://bugzilla.gnome.org/show_bug.cgi?id=693395

관련된 버그는 공유해 주세요.


2013년 2월 13일 오전 11:00, Changwoo Ryu <cw...@debian.org>님의 말:

Changwoo Ryu

unread,
Feb 12, 2013, 10:20:50 PM2/12/13
to gnom...@googlegroups.com
또 한 가지 이슈, 한영 전환한 다음에 뭔가 느리게 전환된다고 생각되는 문제는 한글키나 shift-space가 PRESS가
아닌 RELEASE 시그널에 동작하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하드웨어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옛날부터 한글 키보드의 한글/한자
키는 PRESS 시그널만 나옵니다.)

딜레이는 gnome-settings-daemon에서 처리하지 않던 시절과 비교해도 늘어나지 않았는데요. 불과 수 밀리초라고
해도 키를 떼기가 무섭게 다음키로 손가락을 옮기는 사용자의 패턴 때문에 느리다고 전보다 많이 느려졌다고 생각하는 것이죠.

이건 버그질라에 아직 안 올라온 것 같네요.

Young-Ho Cha

unread,
Feb 13, 2013, 2:45:13 AM2/13/13
to gnom...@googlegroups.com
dbus-monitor --profile 로 확인해보면 시간이 꽤 걸리는 걸 알 수 있습니다. (ibus쪽 message bus를 붙이려고 하면 에러가 나서 -.-;; user session에 붙이고 나서 dconf쪽에 먼가 왔다갔다하는 것 밖에 못보긴합니다.. )

$ dbus-monitor --profile

mc 1360741410 761537 1485 :1.5 /org/freedesktop/DBus org.freedesktop.DBus AddMatch
mc 1360741410 761866 1486 :1.5 /ca/desrt/dconf/Writer/user ca.desrt.dconf.Writer Change
mc 1360741410 761899 1487 :1.5 /ca/desrt/dconf/Writer/user ca.desrt.dconf.Writer Change
mc 1360741410 796174 1488 :1.5 /org/freedesktop/DBus org.freedesktop.DBus RemoveMatch
mc 1360741410 796217 1489 :1.5 /org/freedesktop/DBus org.freedesktop.DBus AddMatch
mc 1360741410 796230 1490 :1.5 /org/freedesktop/DBus org.freedesktop.DBus StartServiceByName
mc 1360741410 797688 1491 :1.5 /org/freedesktop/DBus org.freedesktop.DBus GetNameOwner
mc 1360741410 798079 1492 :1.5 /org/freedesktop/DBus org.freedesktop.DBus RemoveMatch
mr 1360741410 851190 645 1486 :1.5
sig 1360741410 851215 646 /ca/desrt/dconf/Writer/user ca.desrt.dconf.Writer Notify
mr 1360741410 900586 647 1487 :1.5
sig 1360741410 900733 648 /ca/desrt/dconf/Writer/user ca.desrt.dconf.Writer Notify



2013년 2월 13일 오후 12:20, Changwoo Ryu <cw...@debian.org>님의 말:

--
--
이 메일은 "gnome-kr" 구글 그룹에 가입하신 모든 분이 받는 메일입니다. 메일을 받고
싶지 않으시면 gnome-kr+u...@googlegroups.com 주소로 메일을 보내시면
그룹에서 탈퇴됩니다.

메일로 이 그룹에 글을 쓰려면 gnom...@googlegroups.com 주소로 메일을 보내세요.
(이 주소로 탈퇴 요청을 보내지 마세요!)

다음 페이지에서 그룹 옵션을 바꿀 수 있습니다.
http://groups.google.com/group/gnome-kr

---
Google 그룹스 '그놈 한국' 그룹에 가입했으므로 본 메일이 전송되었습니다.
이 그룹에서 탈퇴하고 더 이상 이메일을 받지 않으려면 gnome-kr+u...@googlegroups.com에 이메일을 보내세요.
더 많은 옵션을 보려면 https://groups.google.com/groups/opt_out을(를) 방문하세요.



Changwoo Ryu

unread,
Feb 13, 2013, 3:12:07 AM2/13/13
to gnom...@googlegroups.com
140밀리면 생각보다 높네요. 어딘가 병목이 있는 것 같은데 좀 더 개선할 필요가 있어 보이네요.

하지만 140밀리 정도만 해도 PRESS로 바꾸는 것만으로도 다음 초성 누르기 전에 처리될 것 같은데요.


2013년 2월 13일 오후 4:45, Young-Ho Cha <gana...@gmail.com>님의 말:

Changwoo Ryu

unread,
Feb 13, 2013, 6:22:00 PM2/13/13
to gnom...@googlegroups.com
일단 올렸습니다. 코드는 3.7에서 꽤 바뀌어서 어떻게 해야 할지 아직 모르겠군요.

https://bugzilla.gnome.org/show_bug.cgi?id=693747

2013년 2월 13일 오후 12:20, Changwoo Ryu <cw...@debian.org>님의 말:

RYU Changwoo

unread,
Apr 22, 2013, 12:29:35 AM4/22/13
to GNOME Korea
master에 커밋.

commit 4888729aaea6934582ff3aee60dd3ee3d7a0e72a
Author: Changwoo Ryu <cw...@debian.org>
Date: Wed Apr 3 15:00:02 2013 +0900

keyboard: Allow input of Hangul and Modifier+space shortcuts

These keyboard switching key combinations had been rejected because
using them as shortcuts might prevent users from inputting text. But
now the input source switching keys are configured and processed in
GNOME. So the shortcut settings should allow these key combinations.

https://bugzilla.gnome.org/show_bug.cgi?id=693395

2013년 2월 13일 오후 12:14, Changwoo Ryu <cw...@debian.org>님의 말:

hayaro...@gmail.com

unread,
Aug 21, 2013, 9:32:49 PM8/21/13
to gnom...@googlegroups.com
안녕하세요, gnome3의 한영전환 문제 때문에 이것저것 뒤지다가 아직 해결이 안 되서 질문글을 하나 올립니다.

올리신 패치를 적용하니 일단 설정에서 단축키로 쉬프트+스페이스를 설정하는 것은 가능해졌습니다. 하지만 설정만 그렇게 되고 실제 동작은 안 하네요.

방금 질문글 올리다가 혹시나 해서 보니 로그에 단서가 하나 보이긴 하네요. /var/log/messages를 들여다 봤습니다.

Aug 22 09:58:54 parkgentoo gnome-session[392]: 창 관리자 주의: Cannot bind "switch-input-source" to <Shift>space: it needs a modifier such as Ctrl or Alt.
Aug 22 09:58:54 parkgentoo gnome-session[392]: 창 관리자 주의: Cannot bind "switch-input-source" to <Shift>space: it needs a modifier such as Ctrl or Alt.

그놈컨트롤센터는 받아주는데, 그놈 세션이 거부를 하는 것 같습니다. 이건 어떻게 해야할까요?

현재는 젠투에 그놈3.8을 쓰고 있습니다.

2013년 4월 22일 월요일 오후 1시 29분 35초 UTC+9, Changwoo Ryu 님의 말:

이재균

unread,
Aug 21, 2013, 11:28:16 PM8/21/13
to gnom...@googlegroups.com

안녕하세요,

같은 문제로 한번 확인 해본적이 있었는데요. 그놈 쉘에서 shift 키가 리버스 키로 사용되어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아래 버그질라 참고 해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https://bugzilla.gnome.org/show_bug.cgi?id=695823

2013. 8. 22. 오전 11:20에 <hayaro...@gmail.com>님이 작성:
--

hayaro...@gmail.com

unread,
Aug 22, 2013, 1:26:13 AM8/22/13
to gnom...@googlegroups.com
감사합니다. 버그질라의 패치를 적용해서 드디어 쉬프트+스페이스를 사용하는데 성공했습니다.^^;

2013년 8월 22일 목요일 오후 12시 28분 16초 UTC+9, eleheim 님의 말:

Changwoo Ryu

unread,
Apr 27, 2014, 12:07:37 AM4/27/14
to GNOME Korea
이거 제 의견으로는 아무래도 ibus input source 1개에서 영문/한글입력과 입력 토글키 처리까지 다 처리하게 하는
게 나은 듯합니다. (혹시 dvorak 유저가 어려움이 겪더라도.)

심각한 문제가 뭐냐면, XKB switch와 ibus input source를 동등하게 놓고 스위치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걸
스위치하다 보면 XKB layout이 바뀔 수 있고 그러면 한글 키가 안 먹습니다. 한글 키는 XKB 레이아웃으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이죠. 한글 키를 XKB option으로 만들어 버릴 수도 있는데 그러면 그놈에서 구현하기가 더더욱 힘들어지는 군요.

그놈의 input source 스위치는 한/영 전환 같이 수시로 전환하는 키보드 레이아웃을 위한 기능이 아닙니다.

Changwoo Ryu

unread,
Apr 27, 2014, 7:43:31 AM4/27/14
to GNOME Korea
이런 gnome-desktop API도 문제입니다. 로캘에 대해 1개의 입력 소스를 기본값으로 가정합니다.

https://developer.gnome.org/gnome-desktop3/stable/gnome-desktop3-Language-Utilities.html#gnome-get-country-from-locale


2014년 4월 27일 오후 1:07, Changwoo Ryu <cw...@debian.org>님이 작성:

Changwoo Ryu

unread,
May 2, 2014, 5:04:58 PM5/2/14
to GNOME Korea
자 여러분들 의견을 기다립니다.

여기에도 썼지만, https://bugzilla.gnome.org/show_bug.cgi?id=682319#c11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요.


1. 어떻게든 그놈 개발자들이 의도한 구조에서 잘 맞춰서 한영전환해서 써 보자.

현재 상태입니다. 조금 고치고 기본값만 더 조정해서 쓸만하게 할 수는 있겠지만, 고질적인 문제 몇은 수정하기 어렵습니다.

OS X와 비슷한 게 보기는 꽤 좋은데 역시 OS X처럼 사용에 불편합니다..


2. 한영전환을 ibus-hangul에서 직접 해결하자.

input source switch는 한영 전환과 별개의 문제로 놓는 겁니다. 까다로운 문제들까지 수정할 수 있습니다.
한영전환을 input source switch로 일반화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죠.

작업은 많아지니 시간은 오래 걸릴 겁니다.ibus, ibus-hangul 모두 수정 릴리스되야 하고 gnome-shell에서
한/영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게 해야겠죠.

영문 상태를 자체처리해야 하므로 Dvorak이나 영어가 아닌 언어 키보드 사용자는 불편해 질 수도 있습니다.

Young-Ho Cha

unread,
May 3, 2014, 4:17:51 AM5/3/14
to gnom...@googlegroups.com
결국 gnome rule 안에서만 놀 것인지, 아니면 gnome은 생까고 ibus rule 안에서만 놀 것인지 인건데...

문제는 원 저자들한테 그 rule을 어느 만큼 한국어 입력기 사용자들이 원하는 대로 양보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이네요. (그래야 해킹을 하던, 삽질을 하던 할 수 있을테니;; )

그리고 gnome은 생까더라도 gnome-shell을 생까기가 힘든다는 복병도 있네요... gnome-shell 입장에서는 api 모양새가 아주 묘하게 되겠는데요..(..)


2014년 5월 3일 오전 6:04, Changwoo Ryu <cw...@debian.org>님이 작성:
--
Google 그룹스 '그놈 한국' 그룹에 가입했으므로 본 메일이 전송되었습니다.
이 그룹에서 탈퇴하고 더 이상 이메일을 받지 않으려면 gnome-kr+u...@googlegroups.com에 이메일을 보내세요.
더 많은 옵션을 보려면 https://groups.google.com/d/optout을(를) 방문하세요.

Changwoo Ryu

unread,
May 3, 2014, 4:38:27 AM5/3/14
to GNOME Korea
ibus는 바꾸는데 정책 문제는 따로 없습니다. bus 일본어 메소드를 보면 어떤 건 영문 타이핑 자체 처리도 하는데 어떤 건
switch하게 하고 그래요. 단축키를 삭제하고 자체처리하면 되는 거죠. 이렇게 했을 때 shell에서 한/영 상태 전환을
표시하는 게 더 문제입니다.

2014년 5월 3일 오후 5:17, Young-Ho Cha <gana...@gmail.com>님이 작성:
> --
> 이 메일은 Google 그룹스 '그놈 한국' 그룹에 가입한 분들에게 전송되는 메시지입니다.

Young-Ho Cha

unread,
May 3, 2014, 1:15:47 PM5/3/14
to gnom...@googlegroups.com
ibus내에서 입력기 내부 상태를 export하는 dbus signal을 먼저 정의해야 겠네요. 그래야 shell을 구워먹든 삶아먹든;;;


2014년 5월 3일 오후 5:38, Changwoo Ryu <cw...@debian.org>님이 작성:

Choe Hwanjin

unread,
May 4, 2014, 11:16:46 AM5/4/14
to gnom...@googlegroups.com
ibus-hangul 안에서 키 이벤트를 변환 처리 없이 그대로
입력하는 기능 구현하는 것은 어렵지 않으니 구현을 추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 말 것인지에 대한 옵션을 제공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한영 상태를 export하는 방식은 ibus에서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으나
그 방식을 ibus-hangul에서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지 않을 까요?


2014년 5월 4일 오전 2:15, Young-Ho Cha <gana...@gmail.com>님이 작성:

Changwoo Ryu

unread,
May 4, 2014, 2:59:54 PM5/4/14
to GNOME Korea
지금 shell에 나오는 상태는 그냥 미리 정해진 해당 input source의 이니셜(?)을 표시하는 것 같은데요.
한영전환하면 다른 input source를 선택하면서 '한'이나 "en'을 표시하는.

2014년 5월 5일 오전 12:16, Choe Hwanjin <choe.h...@gmail.com>님이 작성:

ChangSeok Oh

unread,
May 5, 2014, 2:21:43 AM5/5/14
to gnome-kr@googlegroups.com gnome-kr@googlegroups.com
어제 14.04로 올리고 나서 한글 입력이 안된다는 사실을 알고 당황했습니다. 
사안의 심각성을 깨닫고 다시 이 쓰레드를 다시 열어 봤는데요.
여전히 문제가 뭔지 이해가 잘 안되네요. 굉장히 오래된 버그로 보입니다만.. ㅎ

핵심은 한/영 전환키를 사용할 수 없는게 문젠가요?

그냥 딱 보기에는 1번으로 가는게 릴리즈될때마다 충돌나는게 적을 것 같다는 느낌인데.. os x처럼 불편하다니 잘 모르겠네요..



ChangSeok


2014년 5월 5일 오전 3:59, Changwoo Ryu <cw...@debian.org>님이 작성:

Changwoo Ryu

unread,
May 5, 2014, 5:07:37 AM5/5/14
to GNOME Korea
3.6 이후 입력기에 여러가지 문제가 있는데요. 한영키 또는 shift+space 사용하는 것도 한 가지 문제이고요.
나열하자면 잡다한 문제인데 input source를 switch한다라는, 여러 언어를 쓰는 사용자가 키보드 레이아웃 전환하는
것에 한영전환을 매핑하면서 짜증스럽게 되는 상황입니다.

그렇다고 한국 이용자들이 수십년간 써 온 한글 타이핑 방식을 바꿀 수는 없잖아요. 그래서 그냥 독립하자고 제안하는 겁니다.
맥에서도 비슷한 고질적 문제가 있는데, 그래서 맥에서 구름 입력기도 영문 키보드와 한영전환을 자체처리하고 있죠.



2014년 5월 5일 오후 3:21, ChangSeok Oh <chan...@gnome.org>님이 작성:

ChangSeok Oh

unread,
May 5, 2014, 5:49:52 AM5/5/14
to gnome-kr@googlegroups.com gnome-kr@googlegroups.com
> 그렇다고 한국 이용자들이 수십년간 써 온 한글 타이핑 방식을 바꿀 수는 없잖아요
이 부분이 정말 이해가 안되는데, 수십년간 써 온 타이핑 방식이라 함은 뭘 말하는건가요? ^^; 
한영 전환을 한/영 전환키 하나를 이용해서 바꾸는걸 말하는건가요?
저도 맥을 쓰고 있는데 구름 입력기 같은거 사용하지 않고 걍 default로 쓰고 있어요. command + space로 한영 전환해서 쓰는데 어떤 불편함을 못 느꼈는데.. 이 부분을 말씀하시는게 맞나요??


ChangSeok


2014년 5월 5일 오후 6:07, Changwoo Ryu <cw...@debian.org>님이 작성:

Young-Ho Cha

unread,
May 5, 2014, 6:35:51 AM5/5/14
to gnom...@googlegroups.com
윈도 시절부터 한글입력기가 한글 및 영문입력을 모두 담당합니다.
mac은 영문은 영문입력기, 한글은 한글입력기가 담당하죠.

이렇게되면,  (지금은 많이 나아졌긴 하지만) 입력 전환 레이턴시문제도 있고..
한영전환을 os가 직접하는지, 입력기가 하는지도 달라지고, 
따라서 입력전환키의 선택도 어디서 결정할지가 정해집니다.;;;

현재 상태에선 입력전환키를 마음대로 결정하지 못한다는게 개인적으로 가장 아쉬운 점입니다;;;


2014년 5월 5일 오후 6:49, ChangSeok Oh <chan...@gnome.org>님이 작성:

Changwoo Ryu

unread,
May 5, 2014, 8:31:50 AM5/5/14
to GNOME Korea
무슨 키인지는 중요하지 않고, 한글 입력할 때는 한/영키든 shift+space이든 누르면서 한글/영문 상태를 전환하면서
입력하죠. 그런데 맥 디폴트나 그놈 3.6 이후에는 영어 한글 입력기 하나씩 넣고 전환해 가면서 쓰라고 의도하고 있는 거고요.

미묘한 차이라서 못 느끼시는 것 같은데, 스레드 앞에서 나온 얘기들인데요. 한가지 예만 들면 맥에서도 한영전환 키를 눌렀다가
뗄 때 전환되죠. 그것만 해도 타이핑할 때 느낌이 달라집니다. 앞에서 얘기했지만 한영키는 원래 AT/PS2 한글키보드에서는
하드웨어에서 누르는 신호만 발생됩니다. latency가 좀 길어지면 다음번 누르는 키가 바꿀 모드가 아닌 이전 모드로 입력되는
짜증나는 상황이 되고요.

그 외에 전환할 때 포커스가 순간적으로 나가는 문제, OSD 표시, 입력기 3개 이상 추가했을 때 이상해지는 상태, 기본값이
input source 1개를 가정한 libgnome-desktop API 문제 등등 여러 모로 한영전환을 여기 맞추기에는
문제가 많습니다.



2014년 5월 5일 오후 6:49, ChangSeok Oh <chan...@gnome.org>님이 작성:

Changwoo Ryu

unread,
May 7, 2014, 5:52:09 AM5/7/14
to GNOME Korea
ibus-hangul 이슈로도 올라와 있네요.

https://github.com/choehwanjin/ibus-hangul/pull/18

https://fedorahosted.org/i18n/ticket/26

어디든 비슷한 생각을 하는 것 같네요.



2014년 5월 5일 오전 12:16, Choe Hwanjin <choe.h...@gmail.com>님이 작성:

Choe Hwanjin

unread,
May 7, 2014, 5:59:53 AM5/7/14
to gnom...@googlegroups.com
pull request가 와 있었는데, 한번 보고 잊고 있었네요.
저 패치를 적용하는 방향으로 진행해 봐야 겠습니다.


2014년 5월 7일 오후 6:52, Changwoo Ryu <cw...@debian.org>님이 작성:

ChangSeok Oh

unread,
May 7, 2014, 9:18:27 AM5/7/14
to gnome-kr@googlegroups.com gnome-kr@googlegroups.com
여담입니다만 ueno라는 이름이 낯익어서 뒤져보니 역시 gettext 만드는 그 ueno daiki가 맞군요. 그는 정말 닌자 같습니다. :)

ChangSeok


2014년 5월 7일 오후 6:59, Choe Hwanjin <choe.h...@gmail.com>님이 작성:

Changwoo Ryu

unread,
May 17, 2014, 7:04:14 PM5/17/14
to GNOME Korea
2014년 5월 5일 오전 3:59, Changwoo Ryu <cw...@debian.org>님이 작성:
> 지금 shell에 나오는 상태는 그냥 미리 정해진 해당 input source의 이니셜(?)을 표시하는 것 같은데요.
> 한영전환하면 다른 input source를 선택하면서 '한'이나 "en'을 표시하는.

고정된 건 사실이 아니고 우에노 다이키씨에 따르면 gnome-shell에 임의의 상태 문자열을 표시할 수 있네요.

ibus-skk에도 구현이 된 것 같습니다.

https://github.com/ueno/ibus-skk/blob/master/src/engine.vala ("input_mode" 관련)

당장은 ibus-hangul만 수정되면 될 것 같네요. gnome-shell에만 있는 기능이라 다른 환경에서 표시가 안 되는 건 문제네요.

Changwoo Ryu

unread,
Jun 27, 2014, 3:31:08 PM6/27/14
to GNOME Korea
그놈 3.12에서 상황을 말씀드리면 gnome-cotrol-center에서는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gnome-shell에서 패치는 불필요한데, 이번엔 mutter에서 한영키와 Shift+Space가 막힌 상태입니다.
gnome-control-center와 같은 식으로 허용하면 될 것 같은데 반대 의견이 있네요.

https://bugzilla.gnome.org/show_bug.cgi?id=729419

그냥 가능한 빨리 ibus-hangul에 토글 기능을 넣고 디폴트가 된 상태에서 릴리스되는 게 좋을 것 같은데요.

Changwoo Ryu

unread,
Aug 10, 2014, 2:20:54 AM8/10/14
to GNOME Korea
최환진님이 수고하셔서 ibus-hangul git에서 굉장히 진전이 많이 됐습니다. 일부분은 데비안 패키지로도 반영이 됐고요. (1.4.2-5)

지금까지 한영 전환을 input-source-switch에 대응시키려는 시도들은 방법이 없는 것으로 보고, 리포트된 버그들은
INVALID로 처리하겠습니다.
Reply all
Reply to author
Forward
0 new mess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