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MS, LDAP 등과 연동되는 DNS 소프트웨어들

조회수 256회
읽지 않은 첫 메시지로 건너뛰기

문태준

읽지 않음,
2009. 7. 15. 오전 11:42:2709. 7. 15.
받는사람 sysadminstudy
오늘 사무실 옆사람과 이야기를 하다가 DBMS와 연동할 수 있는 DNS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야기를 잠시 나누었습니다. 근데 생각
해보니 이런 정보들은 그다지 공유가 안되고 있는 것 같아서 메일 한번 돌립니다.

네임서버에서 데이타를 텍스트파일로 관리할 경우 관리하는 도메인이 늘어나면 처리가 불편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DBMS와 연동하거나 LDAP 서버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네임서버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을 이용하면 DNS와 관련된 관리업무를 편리하게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제가 직접 DNS를 운영하는 경우라면 저는 이러한 DNS를 쓸 것입니다.
vi로 named.conf 수정하는 작업은 오우~~~

* DNS Server 비교
http://en.wikipedia.org/wiki/Comparison_of_DNS_server_software

* DNS 소프트웨어 비교 : 아래 자료보면 Mysql, LDAP 서버와 연동할 수 있는 dns 소개하고 있음.
http://cr.yp.to/djbdns/other.html

호스팅하는 회사들에서도 DBMS와 연동을 하는 PowerDNS 같은 것을 쓰는 경우도 있지요.

문태준

읽지 않음,
2009. 7. 15. 오전 11:56:5309. 7. 15.
받는사람 sysadminstudy
우앗~~ 역시나 찾아보니깐 DHCP도 LDAP과 연동할 수가 있군요.
DHCP 와 DBMS로는 검색결과가 잘 안 나오는데 LDAP과는 자료들이 있습니다.
데비안 패키지등으로도 나오는군요.

http://skalyanasundaram.wordpress.com/dhcp/dhcp-with-ldap-support/

물론 dhcp 정보도 vi 로 편집하거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겠지만 DBMS 또는 LDAP 등과 연동이 되면 복잡하
게 프로그램 만들 필요 없이 DBMS 또는 LDAP 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업데이트가 가능하지요. DHCP 정
보 업데이트가 자주 있는 경우에는 고려해볼만한 선택이라 생각하네요.


On 7월16일, 오전12시42분, 문태준 <j...@tunelinux.pe.kr> wrote:
> 오늘 사무실 옆사람과 이야기를 하다가 DBMS와 연동할 수 있는 DNS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야기를 잠시 나누었습니다. 근데 생각
> 해보니 이런 정보들은 그다지 공유가 안되고 있는 것 같아서 메일 한번 돌립니다.
>
> 네임서버에서 데이타를 텍스트파일로 관리할 경우 관리하는 도메인이 늘어나면 처리가 불편합니다.
> 이러한 경우에는 DBMS와 연동하거나 LDAP 서버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네임서버들이 있습니다.
>
> 이러한 것들을 이용하면 DNS와 관련된 관리업무를 편리하게 할 수 있습니다.
>
> 만약 제가 직접 DNS를 운영하는 경우라면 저는 이러한 DNS를 쓸 것입니다.
> vi로 named.conf 수정하는 작업은 오우~~~
>

> * DNS Server 비교http://en.wikipedia.org/wiki/Comparison_of_DNS_server_software
>
> * DNS 소프트웨어 비교 : 아래 자료보면 Mysql, LDAP 서버와 연동할 수 있는 dns 소개하고 있음.http://cr.yp.to/djbdns/other.html

jskim

읽지 않음,
2009. 7. 15. 오후 11:43:5909. 7. 15.
받는사람 sysadm...@googlegroups.com
안녕하세요
눈팅만 하다가 관심있는 주제라 반가운 마음에 몇자 적어봅니다.
역시 DNS관리는 DB로 하는게 편리하죠. LDAP는 많이 안 써봐서 잘 모르겠습니다.
아래 관련 문서 링크겁니다.

MyDNS
http://www.howtoforge.com/installing-mydns-and-mydnsconfig-3-on-fedora-10

PowerDNS
http://www.howtoforge.com/installing-powerdns-with-mysql-backend-and-poweradmin-on-centos-5.2

개인적으로 Howtoforge에 재밌는 자료가 많이 올라와서 RSS 구독하고 있습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그럼 더운 여름 건강 조심하시길...


2009년 7월 16일 오전 12:56, 문태준 <j...@tunelinux.pe.kr>님의 말:

최세영

읽지 않음,
2009. 7. 16. 오전 12:22:3709. 7. 16.
받는사람 sysadm...@googlegroups.com

안녕하세요 문부장님 저 최세영입니다.

 

저도 눈팅만 하다가 PDNS소개가 있어서 몇 자 남깁니다.

PDNS는 저희 호스팅업체에서 3년동안 사용한 DNSD 3년 동안 단 한번의 장애 or 이상동작을 발생한 적이 없습니다.

3만개의 zone을 관리하는데 평균 로드 1%만 사용됩니다.

 

제가 설치할 때만 해도 power-admin이란 것이 없었는데 이 것이 있으면 관리 역시 편리하겠습니다.

Bind를 사용하시는 분께는 적극적으로 권해드립니다.

Kang

읽지 않음,
2009. 7. 17. 오후 12:16:1409. 7. 17.
받는사람 sysadm...@googlegroups.com
안녕하세요.

DNS서버들 레코드를 DB로 관리하는 것들로 여러개 소개해주셨는데요.
예전에 저도 그런 것 찾아보다가 http://bind-dlz.sourceforge.net/ 란 걸 발견했었습니다.
하지만 2004년 이후 관리가 안되고 있는 것 같더군요.

원하는 바는 레코드들을 편리하고 일관되게 관리하는 것도 있지만
여러대의 DNS서버를 사용할 때 zone transfer가 일어나는 master - slave 구조가 아닌
multi master 구조를 원했습니다.( 참고: http://bind-dlz.sourceforge.net/best_practices.html )
multi master 구조라면 저장된 레코드 정보를 기준으로 똑같은 설정이 여러대의 master에
자동으로 적용되는 구조여야겠죠.

bind-dlz가 그런 구조를 지원하지만 말씀드린대로 제대로 유지보수가 되지 않아서 패스했고
적절한 솔루션을 찾아보다가 The Practice of System and Network Administration의 저자인
Thomas A. Limoncelli가 만든 HostDB

http://everythingsysadmin.com/hostdb/
http://code.google.com/p/hostdb/

란걸 찾아 만족하며 잘 쓰고 있습니다.
 
HostDB는 DB를 쓰지 않고 고유의 텍스트파일 형태로 설정을 한뒤 make명령을 통해 bind설정을
생성하고 자동으로 DNS서버들에 적용을 시키는 형식입니다만 사람이 쉽게 읽을 수 있고 편집가능한
형태라면 굳이 DB와 Web인터페이스등을 통한 설정환경등을  고집할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2009년 7월 16일오후 1:22, 최세영 <arma...@gmail.com>님의 말:

문태준

읽지 않음,
2009. 7. 17. 오후 9:59:4309. 7. 17.
받는사람 sysadminstudy
흐흐 .. 역시 새로운 주제를 하나 던지니까 여러가지 의견들이 나오는군요.
그동안 약간은 이론적인(?) 주제나 정책에 대한 부분들 이런 것들을 하니깐 눈팅하시는 분들이 많았는데 구체적인 주제로 넘어오니
깐 의견들이 나오는군요.
http://www.howtoforge.com/ 사이트도 알게 되구요.

세영씨 그런 작업 kldp 같은데 올려요. 그러면 여러사람 도움이 되잖아요.

hostdb는 전에 사이트에서 본적은 있었지만 자세하게는 보지 않았습니다.
Keep your configurations consistent by generating them all from the
same source. -> 이 문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어떠한 도구나 기술을 쓰건 각종 설정정보를 중앙에서 일관되게 관리하
고 배포해야 하지요.

multi master 구조라면 backend 로 DBMS나 LDAP를 이용할 경우 약간의 시간차는 생길 수 있지만
replicaiton 을 이용하면 되지 않을까요? 물론 dns 서버 자체에서 그러한 기능을 구현해주지 않는다면 기타 다른 여러가
지 기술로 조합을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DNS 정보의 replication 은 그렇다고 정말 아주 실시간일 필요는 없을
듯 한데요.

구체적인 요구사항에 따라서 다를 것인데 Kang님이 말한 것처럼 명령행을 이용하는 것은 특정 SM이 해당 작업을 할 경우에는 적
절하겠죠.
그렇지만 도메인 업체와 같은 경우 다량의 도메인이 있고 때로는 필요한 권한을 다른 사람에게 위임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
는 DBMS등과의 연동이 편리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도메인 호스팅하는 업체들이 PowerDNS 같은 것을 이용하는 것도 그런
이유이지요.

제가 여기 글을 적은 것도 네임서버를 꼭 DBMS와 연동해야 한다는 의도가 아니고 이러한 방법도 있으며 자신의 서비스 상황에 따
라 적절한 경우도 있다는 것을 말하고자 함입니다. 웹UI는 회사에서 관리하는 통합관리시스템에 있고 여기에 붙이는 경우에 필요한
것이고 네임서버와 dbms연동과는 다른 주제이겠죠.

On 7월18일, 오전1시16분, Kang <chahk...@gmail.com> wrote:
> 안녕하세요.
>
> DNS서버들 레코드를 DB로 관리하는 것들로 여러개 소개해주셨는데요.

> 예전에 저도 그런 것 찾아보다가http://bind-dlz.sourceforge.net/란 걸 발견했었습니다.


> 하지만 2004년 이후 관리가 안되고 있는 것 같더군요.
>
> 원하는 바는 레코드들을 편리하고 일관되게 관리하는 것도 있지만
> 여러대의 DNS서버를 사용할 때 zone transfer가 일어나는 master - slave 구조가 아닌
> multi master 구조를 원했습니다.( 참고:http://bind-dlz.sourceforge.net/best_practices.html)
> multi master 구조라면 저장된 레코드 정보를 기준으로 똑같은 설정이 여러대의 master에
> 자동으로 적용되는 구조여야겠죠.
>
> bind-dlz가 그런 구조를 지원하지만 말씀드린대로 제대로 유지보수가 되지 않아서 패스했고
> 적절한 솔루션을 찾아보다가 The Practice of System and Network Administration의 저자인
> Thomas A. Limoncelli가 만든 HostDB
>

> http://everythingsysadmin.com/hostdb/http://code.google.com/p/hostdb/


>
> 란걸 찾아 만족하며 잘 쓰고 있습니다.
>
> HostDB는 DB를 쓰지 않고 고유의 텍스트파일 형태로 설정을 한뒤 make명령을 통해 bind설정을
> 생성하고 자동으로 DNS서버들에 적용을 시키는 형식입니다만 사람이 쉽게 읽을 수 있고 편집가능한
> 형태라면 굳이 DB와 Web인터페이스등을 통한 설정환경등을 고집할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

> 2009년 7월 16일오후 1:22, 최세영 <armada...@gmail.com>님의 말:


>
> > 안녕하세요 문부장님 저 최세영입니다.
>
> > 저도 눈팅만 하다가 PDNS소개가 있어서 몇 자 남깁니다.
>
> > PDNS는 저희 호스팅업체에서 3년동안 사용한 DNSD로 3년 동안 단 한번의 장애 or 이상동작을 발생한 적이 없습니다.
>
> > 약 3만개의 zone을 관리하는데 평균 로드 1%만 사용됩니다.
>
> > 제가 설치할 때만 해도 power-admin이란 것이 없었는데 이 것이 있으면 관리 역시 편리하겠습니다.
>
> > Bind를 사용하시는 분께는 적극적으로 권해드립니다.
>

> > *From:* sysadm...@googlegroups.com [mailto:
> > sysadm...@googlegroups.com] *On Behalf Of *jskim
> > *Sent:* Thursday, July 16, 2009 12:44 PM
> > *To:* sysadm...@googlegroups.com
> > *Subject:* [sysadminstudy] Re: DBMS, LDAP 등과 연동되는 DNS 소프트웨어들


>
> > 안녕하세요
> > 눈팅만 하다가 관심있는 주제라 반가운 마음에 몇자 적어봅니다.
> > 역시 DNS관리는 DB로 하는게 편리하죠. LDAP는 많이 안 써봐서 잘 모르겠습니다.
> > 아래 관련 문서 링크겁니다.
>
> > MyDNS

> >http://www.howtoforge.com/installing-mydns-and-mydnsconfig-3-on-fedor...
>
> > PowerDNS
>
> >http://www.howtoforge.com/installing-powerdns-with-mysql-backend-and-...

김호현

읽지 않음,
2009. 7. 19. 오후 9:20:4109. 7. 19.
받는사람 sysadminstudy
안녕하세요 김호현입니다...

http://ffhosting.net/train_linuxer/4957/page/2

예전 호스팅사를 운영해보았던 경험이있어서 비슷한 자료가 있어서 올립니다..
호스팅사들의 경우 도메인이 많아질수록 include 로 나누었으나 이걸 변경하여 DB로 관리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다량의 도메인의 경우 일일이 설정해주고 변경해주는것도 시간적인면에서 많이들어서 웹DNS를 생각했던적 있습니다..

PowerDNS툴은 사용해보지 않았지만...대부분 호스팅사들이 채택해서 사용하고 있는걸로 알고잇습니다..
multi-master 구조를 이용해서 DNS replication 이용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해줄필요는 없을것같습니다.

도메인 전문업체나 호스팅사의 구조라면 DNS replication 을 이용하는것도 효율적일것 같다는 생각이듭니다..
master 서버의 DNS 를 실시간적으로 업데이트만 해준다면.. 언제 발생할지 모를장애에 대비하여...^^.

On 7월18일, 오전10시59분, 문태준 <j...@tunelinux.pe.kr> wrote:
> 흐흐 .. 역시 새로운 주제를 하나 던지니까 여러가지 의견들이 나오는군요.
> 그동안 약간은 이론적인(?) 주제나 정책에 대한 부분들 이런 것들을 하니깐 눈팅하시는 분들이 많았는데 구체적인 주제로 넘어오니

> 깐 의견들이 나오는군요.http://www.howtoforge.com/사이트도 알게 되구요.


>
> 세영씨 그런 작업 kldp 같은데 올려요. 그러면 여러사람 도움이 되잖아요.
>
> hostdb는 전에 사이트에서 본적은 있었지만 자세하게는 보지 않았습니다.
> Keep your configurations consistent by generating them all from the
> same source. -> 이 문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어떠한 도구나 기술을 쓰건 각종 설정정보를 중앙에서 일관되게 관리하
> 고 배포해야 하지요.
>
> multi master 구조라면 backend 로 DBMS나 LDAP를 이용할 경우 약간의 시간차는 생길 수 있지만
> replicaiton 을 이용하면 되지 않을까요? 물론 dns 서버 자체에서 그러한 기능을 구현해주지 않는다면 기타 다른 여러가
> 지 기술로 조합을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DNS 정보의 replication 은 그렇다고 정말 아주 실시간일 필요는 없을
> 듯 한데요.
>
> 구체적인 요구사항에 따라서 다를 것인데 Kang님이 말한 것처럼 명령행을 이용하는 것은 특정 SM이 해당 작업을 할 경우에는 적
> 절하겠죠.
> 그렇지만 도메인 업체와 같은 경우 다량의 도메인이 있고 때로는 필요한 권한을 다른 사람에게 위임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
> 는 DBMS등과의 연동이 편리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도메인 호스팅하는 업체들이 PowerDNS 같은 것을 이용하는 것도 그런
> 이유이지요.
>
> 제가 여기 글을 적은 것도 네임서버를 꼭 DBMS와 연동해야 한다는 의도가 아니고 이러한 방법도 있으며 자신의 서비스 상황에 따
> 라 적절한 경우도 있다는 것을 말하고자 함입니다. 웹UI는 회사에서 관리하는 통합관리시스템에 있고 여기에 붙이는 경우에 필요한
> 것이고 네임서버와 dbms연동과는 다른 주제이겠죠.
>
> On 7월18일, 오전1시16분, Kang <chahk...@gmail.com> wrote:
>
>
>
> > 안녕하세요.
>
> > DNS서버들 레코드를 DB로 관리하는 것들로 여러개 소개해주셨는데요.

> > 예전에 저도 그런 것 찾아보다가http://bind-dlz.sourceforge.net/란걸 발견했었습니다.

> > > > 호스팅하는 회사들에서도 DBMS와 연동을 하는 PowerDNS 같은 것을 쓰는 경우도 있지요.- 원본 텍스트 숨기기 -
>
> - 원본 텍스트 보기 -

희심금강

읽지 않음,
2009. 7. 26. 오후 8:37:0309. 7. 26.
받는사람 sysadminstudy
안녕하세요 ~~^^;;

PowerDNS는 자체적으로 캐싱기능을 지원하고 있지만 MyDNS는 캐싱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전에 MyDNS 테스트 하면

djbdns의 DNSCACHE를 MyDNS에 붙여서 캐싱기능을 구현한 문서입니다. POWER DNS도 그렇지만 ANS와 CNS
는 서로 다른 아이피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http://blog.blueweb.co.kr/104?category=17


On 7월16일, 오전12시42분, 문태준 <j...@tunelinux.pe.kr> wrote:

> 오늘 사무실 옆사람과 이야기를 하다가 DBMS와 연동할 수 있는 DNS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야기를 잠시 나누었습니다. 근데 생각
> 해보니 이런 정보들은 그다지 공유가 안되고 있는 것 같아서 메일 한번 돌립니다.
>
> 네임서버에서 데이타를 텍스트파일로 관리할 경우 관리하는 도메인이 늘어나면 처리가 불편합니다.
> 이러한 경우에는 DBMS와 연동하거나 LDAP 서버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네임서버들이 있습니다.
>
> 이러한 것들을 이용하면 DNS와 관련된 관리업무를 편리하게 할 수 있습니다.
>
> 만약 제가 직접 DNS를 운영하는 경우라면 저는 이러한 DNS를 쓸 것입니다.
> vi로 named.conf 수정하는 작업은 오우~~~
>

> * DNS Server 비교http://en.wikipedia.org/wiki/Comparison_of_DNS_server_software
>
> * DNS 소프트웨어 비교 : 아래 자료보면 Mysql, LDAP 서버와 연동할 수 있는 dns 소개하고 있음.http://cr.yp.to/djbdns/other.html

전체답장
작성자에게 답글
전달
새 메시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