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검정색 정장"이 비즈니스맨을 위한 정장이라고 ???
제목 : [기고] 한국사람들이 집착하는 것으로 보일정도로 이상하게 선호하는
블랙수트(Black Suits)는, "비즈니스를 위한 정장"이 아니다!
한국 비즈니스맨들이 해외출장가서 가장 눈총받는 것이, 블랙수트(검은색 정장)을
입는 것이다. 외국의 바이어가 한국에 방문했을 때도 마찬가지이다!
수트, 즉 정장은 서양에서 들어온 의복문화이므로 그들 서양의 드레스코드를
따르는 것이 맞는 것이다! 이렇게 한다고 해서 절대 사대주의나 굴욕이라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한번 생각해 보시라. 만약 서양인이 우리의 전통한복을 우리의 한복코드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서양의 문화개성대로 고쳐서 입는다면, 그것을 우리나라 어르신들이
보았을때 어떤 생각을 하실 것 같은가?
다시 블랙수트(Black Suits)의 주제로 돌아와서,,,,
서양의 Dress Code에 의하면, Black Suits는 장례식, 종교의식, 결혼식때만
입도록 되어 있는 특수한 예복이며, 서양의 턱시도(Tuxedo)나 모닝코트(Morning
Coats)를 위해서 준비된 컬러이다.
절대로 비즈니스맨들이 입는 옷이 아니다! 비즈니스맨들은 차콜(Charcoal,
석탄색, 목탄색), Charcoal Grey, Grey, Navy Blue 계통의 옷을 입어야 한다.
얼핏생각하면 차콜(Charcoal, 목탄색, 석탄색)색과 검정색(Black, 검은색)이 무슨
차이가 있냐고 반문하겠지만, 자세히 보면 미세한 "차이"가 느껴질 것이다.
이 미세한 차이가 바로 비즈니스맨인 당신의 안목과 이미지, 심지어 능력까지도
그 첫인상에 의하여 상대방으로 하여금 판단하게 만드는 것이다. 게다가 한사람의
개인이 아닌 "한국인의 전체의 안목"으로까지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사람이 가장 선호하는 컬러가 블랙수트이고 가장 많이 팔리는 수트 중의
하나가 바로 블랙이다!
특히, 유럽사람들과 북미의 기득권층(부유하고, 고위직이고...등등)들은 "컬러를
보는 눈"이 대단히 예민하다는 것을 꼭 기억했으면 한다.
심지어, 일본사람들도 비즈니스 미팅에서 블랙수트는 절대로 입지 않는다. 이들
역시 블랙수트는 예복(장례식 등)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일본사람들은
메이지유신이후에 북미보다는 유럽식 드레스코드를 철저히 따르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
한가지 예로서, 한국의 재벌들과 중견기업의 CEO들은 "턱시도"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드물지만, 일본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한가지 지적은 구두(DRESS SHOES)인데,,,,,
수트의 본고장인 유럽에서는 갈색(Brown)이나 흑갈색(Dark Brown) 구두가 본래의
정장구두이다. 수트의 색이 무슨 색이든 상관없이 사실은 Brown Dress Shoes를
착용한다. 물론 혁띠도 구두 색깔과 일치해야 한다.
영국인들과 북미인들도 기득권층들(부유층들)은 Navy Suits만큼은 Brown Dress
Shoes라는 Dress Code를 반드시 지키려고 한다.
게다가, 앞서 일본인들이 철저히 유럽식 Dress Code를 따른다고 얘기했듯이,
일본인들도 반드시 Brown Dress Shoes를 가지고 있고 더 선호한다.
한국이 일반의 북미인들이 선호하는 Black Dress Shoes를 선호하는 것과 큰
대조를 보이는 부분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가지 더 지적하면,
한국에서는, 이상하게도 자신의 실제의 어깨길이보다 큰 수트를 선호하기때문에,
뒤에서 보면 역삼각형으로 보이는 수트를 선호하지만 (유럽인들은 이것을
우스꽝스럽게 생각한다. 심지어 일본인들까지도... 그리고, 마음속으로는 그것을
비웃는다. 이것은 과장이 아닌 사실이다.),
유럽전통의 클래식 Dress Code에 따르려면, 반드시 자신의 어깨와 허리선이
잘록하게 피트된(Fitting) 꼭 맞는 수트를 착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Dress Code는
한국에서처럼 유행을 타는 것이 절대로 아니다! 일본 역시 어깨에 꼭 맞고 허리가
잘록하게 피팅된 수트를 "수트(정장)"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사람들이 "어깨가 실제보다 크고, 허리가 없는 통으로된 수트"를 선호하는
것과 대조를 이룬다.
일본사람들은 한국의 비즈니스맨들을 볼 때 한 10년은 뒤쳐졌다고 생각하는 것이
바로 이 수트때문이다.
실제 유럽에서 수트관련 중요한 전시회가 열리고, 또 저녁에는 파티가 열리면,
일본비즈니스맨들은 많지만, 한국 비즈니스맨들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전시회를 보기 위해서 그렇게 많이 방문을 했음에도 파티에서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잘 보이지 않는단다. 분명히 이 업계에서는 파티도 중요한 비즈니스의
연장선상에 있고 중요한 결정이 골프에서 결정되는 것처럼 파티에서 결정되고
인간관계가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유럽사람들, 아니 그것보다는 일본비즈니스맨들과 비교했을때 옷차림에서
뭔가 어색함과 부족함과 초라함까지 느낀 한국의 비즈니스맨들이 "파티문화가
익숙하지않다는 핑계로" 참석하지 않는 결과라고 생각할 수 밖에 없다!
서양제국들 및 일본제국과 경쟁해야 하는 한사람의 한국인으로서 정말로 안타까운
마음에 이렇게 적어봤습니다.
서양인들과 일본인들이 속으로 비웃는 것을 더이상 참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면,
유럽의 Classical Dress Code를 연구해보시길 바랍니다. (특히, 중년이상의
분들!!!)
그다음에는, 배가 불룩하게 나오지 않도록 꾸준히 관리하시길...!!!!!!!!!!!
건강이 바로 국력의 한 단면이 아니겠습니까!!!!!
2007.05.30.
* 추신 : 구한말 때, 대한제국 황실에서 외세의 침입에 대항해보고자 신식군대를
육성하려고 구식군대를 교육시키기 위해서 유럽에서 불러들인 유럽인 군관이 쓴
그 당시에 유럽에서 출판된 책에 뭐라고 나와있는지 아십니까 ?
조선의 (대다수의) 군인들은 배가 많이 나오고 행동이 꿈뜨고 느리며 교육수준이
낮고 배움의 의욕이 없으며 배우는 속도도 느리다라고 쓰여져 있습니다.
위의 사실을 몇년전에 9시뉴스인지에서 보고는 정말 충격적이었습니다![ 그 책을
소개하는 내용이, 유럽에서 한국(조선, 대한제국???)을 소개한 최초의
출판물이라고 하면서...] 구한말때 그렇게 외세의 제국주의에 시달리고 먹을 것도
제대로 못 먹었던 시절에 그나마 공무원이라고하는 군인들이, 아니 "근대의
조상들"이 저 모냥이었다니!!! 정말 한심한 생각이 듭디다!!!
하위직 군인들이 저 모냥일진대, 그당시 관리들이나 정치인들은 오죽 했으랴!!!
도대체 뭘 그렇게 대다수를 차지했던 무지한 일반 서민과 농민들을 착취해서 뺐어
먹었길래, 하위직 군인들이라는 사람들이 배가 그렇게 많이 나와서 행동이 꿈뜨고
배우는 속도까지 느렸다는...!!!!!
하나의 일면이지만, 나라를 통째로 일제에 빼앗긴 것이 이해가 됍디다!!!
정신들 좀 차립시다. "우리 후세들이 현재의 우리들을 보고 무슨 생각을 할지"에
대해서 생각 좀 하면서 생활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여러분!
-------------------------------------------------------------
덕분에 많은 걸 알게되었습니다.
행복한 나날 되세요~~
"무명ㅆ;" <moomye...@moomyeongssi.int> wrote in message
news:f3k2mo$c6p$1...@inn1.bora.net...
Returning to himself, let man consider what he is in comparison with all
existence; let him regard himself as lost in this remote corner of nature;
and from the little cell in which he finds himself lodged, I mean the
universe, let him estimate at their true value the earth, kingdoms, cities,
and himself. What is a man in the Infinite?
But to show him another prodigy equally astonishing, let him examine the
most delicate things he knows. Let a mite be given him, with its minute body
and parts incomparably more minute, limbs with their joints, veins in the
limbs,
838. Jesus Christ performed miracles, then the apostles, and the first
saints in great number; because the prophecies not being yet accomplished,
but in the process of being accomplished by them, the miracles alone bore
witness to them. It was foretold that the Messiah should convert the
nations. How could this prophecy be fulfilled without the conversion of the
nations? And how could the nations be converted to the Messiah, if they did
not see this final effect of the prophecies which prove Him? Therefore, till
He had died, risen again, and converted the nations, all was not
accomplished; and so miracles were needed during all this time. Now they are
no longer needed against the Jews; for the accomplished prophecies
constitute a lasting miracle.
839. "Though ye believe not Me, believe at least the works." He refers them,
as it were, to the strongest proof.
It had been told to the Jews, as well as to Christians, that they should not
always believe the prophets; but yet the Pharisees and Scribes are greatly
concerned about His miracles and try to show that they are false, or wrought
by the devil. For they must needs be convinced, if they acknowledge that
they are of God.
At the present day we are not troubled to make this distinction. Still it is
very easy to do: those who deny neither God nor Jesus Christ do no miracles
which are not certain. Nemo facit virtutem in nomine meo, et cito possit de
me male loqui.191
But we have not to draw this distinction. Here is a sacred relic. Here is a
thorn from the crown of the Saviour of the world, over whom the prince of
this world has no power, which works miracles by the peculiar power of the
blood shed for us. Now God Himself chooses this house in order to display
conspicuously therein His power.
These are not men who do miracles by an unknown and doubtful virtue, which
makes a decision difficult for us. It is God Himself. It is the instrument
of the Passion of His only Son, who, being in many
After this, her illness increased upon her: and once after she had
before spent the greater part of the night in extreme pain, she waked
out of a little sleep with these words in her heart and mouth; "I am
willing to suffer for Christ's sake, I am willing to spend and be spent
for Christ's sake; I am willing to spend my life, even my very life, for
Christ's sake!" And though she had an extraordinary resignation with
respect to life or death, yet the thoughts of dying were exceeding sweet
to her. At a time when her brother was reading in Job, concerning worms
feeding on the dead body, she appeared with a pleasant smile; and being
asked about it, she said, It was sweet to her to think of her being in
such circumstances. At another time, when her brother mentioned the
danger there seemed to be, that the illness she labored under might be
an occasion of her death, it filled her with joy that almost overcame
her. At another time, when she met a company following a corpse to the
grave,